본문 바로가기
  • 배우고 글 쓰고 나누는 제 마음에 사랑이 흘러넘치게 하소서

학(學)-평생에 걸쳐 학습하라63

8. The Lord as My Royal Shepherd (왕 같은 나의 목자 되신 주님) https://www.youtube.com/watch?v=BW9KzVpitug 2022. 1. 3.
7. Jesus’ Kingship (왕 되신 예수님) https://www.youtube.com/watch?v=LvfXgLTVorg 2021. 12. 22.
선교와 인문학이 만나다 (선교소식지인 "선교대구"에 게재된 제 글 한 편을 소개합니다.) 선교와 인문학이 만나다 -들어가는 말- 선교 활동에 있어 인문학은 선택 사항이 아니다. 존 스토트가 지적한 성경의 “이중 저작”(double authorship) 상황만 돌아보아도 이 점이 명백해진다. 즉 성경은 우선 “여호와의 입의 말씀”(이사야 1:20)인 동시에 “하나님이 모든 선지자의 입을 통하여” 말씀하신 내용이다(사도행전 3:18, 21). 이런 성경에 접근하는 우리의 자세도 이중적(a double approach)이어야 한다. 유일신 하나님의 말씀이므로 경외하는 자세와 겸손한 태도로 대해야 하고, 지성을 활용하여 생각하면서 그 말씀의 인문학적 특성에 주목하면서 읽어야 한다. 이런 이중적 접근 방식은 불가능하지 않을 뿐 아니라 .. 2021. 12. 10.
성서인문학과 “내면의 자산으로 풍요로운 인생소풍길” 출간 성서인문학과 “내면의 자산으로 풍요로운 인생소풍길” 출간새로운 책(여덟 번째) 한 권이 10월 1일 자로 '부크크' 플랫폼을 통해 출간되었습니다. 제목은 “내면의 자산으로 풍요로운 인생소풍길”입니다. 그리고 "트인 마음으로 성경 읽기" 개정판이 9월 23일 자로 재출간되었고, "영어, 소통의 도구/성숙의 동반자"와 "하늘과 땅이 만나는 성서인문학" 증보판이 각각 10월 7일과 13일 자로 재출간되었습니다('부크크'). 성서인문학의 지향점최근에 출간된 여섯 번째("인본주의자 오디세우스는 없다"), 일곱 번째("온전한 나를 찾아 가는 순례자"), 여덟 번째 책은 사실상 "하늘과 땅이 만나는 성서인문학"의 후속편의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이 책은 원래 전통적인 가치관, 근대적인 세계관 및 탈근대적인 시각들이 .. 2021. 10. 16.
'영덕회'와 '잉클링즈'(The Inklings) '영덕회'와 '잉클링즈'(The Inklings) 이 주 전에 경북 영덕에서 목회자님들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다변화된 목회, 넓고 깊은 독서”라는 제목을 중심으로 함께 시간을 나누었습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저를 불러 주신 그 지역 목회자님들 중 모두 열네 분이 참석해 주셨는데, 사모님 두 분과 목사님 열두 분이셨습니다. 작년에 뵈었던 분들을 다시 만날 수 있어 여간 반갑지 않았습니다. 목회 현장의 다변화가 어제오늘 일은 아니었기에, 우선 교회의 존재 목적을 중심으로 그 다변화의 필연성을 나누었습니다. 즉 교회 안팎에서 하나님께 대한 사역인 예배(worship), 성도들에 대한 사역인 양육(nurture) 및 세상에 대한 사역인 전도와 긍휼(evangelism and mercy)이 균형을.. 2021. 10. 14.
"인본주의자 오디세우스는 없다" 외 1권 출간 “인본주의자 오디세우스는 없다” 외 1권 출간오늘 일자로 '부크크' 플랫폼을 통해 두 권의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인본주의자 오디세우스는 없다"와 "온전한 나를 찾아 가는 순례자"라는 제목의 에세이집입니다. 지난 해부터 지속해 온 서양 고전소설 및 희곡 독해 과정의 중간 결산입니다. 각각 한 두 편의 서론 격의 에세이를 시발점으로 하여, 8편씩의 소설(한 편 희곡 포함)을 정독하고 논평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글들은 모두 이곳 블로그를 통해 선보인 것들입니다. 다만 동일 주제별로 각각 9편과 10편씩을 정리해서 편집했습니다. 아래에 두 권의 책 서문에 해당하는 '들어가는 말'을 소개해 두었습니다. 그동안 이 블로그를 성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인본주의자 오디세우스는 없다"-서양 고전문학이 열어 밝.. 2021.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