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배우고 글 쓰고 나누는 제 마음에 사랑이 흘러넘치게 하소서

도(道)-보편적 원리를 실천하라36

5. The First and Foremost Ambition (최고의 야망) https://www.youtube.com/watch?v=6WB8G3WiwUM 2021. 12. 10.
3. Thanksgiving in a Thankless World (감사 없는 세상에서 감사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vQQCAn_3vJY 2021. 11. 23.
상상력과 ‘다오’[the Tao]를 양식으로 삼은 편력 기사,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3) 상상력과 ‘다오’[the Tao]를 양식으로 삼은 편력 기사,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3) -“돈키호테”의 애정관- 이 작품 속에는 단편 스토리가 자주 등장합니다. 돈키호테의 편력 기사 모험 여정에 대한 이야기인지 그런 스토리 모음집인지 혼동이 될 정도로 다양한 이야기들이 중간중간에 끼어듭니다. 그 이야기들은 주로 남녀 간의 사랑이 주가 되어 다양한 상황에 처한 연인들의 고뇌가 묘사되어 있습니다. 짝사랑, 의처증, 삼각관계, 재물에 근거한 결혼, 부모의 뜻보다 자기 뜻대로 하는 결혼과 연관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곳곳에 등장합니다. 그래서 다양한 상황에 처한 남녀 관계에 대한 세르반테스의 획기적인 시각들을 엿볼 수 있습니다. 우선 연인 관계에 대한 그의 창의적인 안목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많은 청년들의.. 2021. 5. 8.
상상력과 ‘다오’[the Tao]를 양식으로 삼은 편력 기사,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2) 상상력과 ‘다오’[the Tao]를 양식으로 삼은 편력 기사,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2) -매 시대마다 복기되는 돈키호테의 의미- 돈키호테는 어떤 인물일까요? 작품 속에 나타난 돈키호테는 우선 독서광입니다. 자기를 “길바닥에 있는 찢어진 종이라도 읽는 천성을 지닌 인간”으로 묘사한 세르반테스를 닮아 독서에 열심을 내는 인물입니다. 그의 집에는 자신의 인생에 위안을 주고 자기 영혼의 선물이라고 할 수 있는 책이 3백 권 이상이나 됩니다. 돈키호테가 대화할 때 인용하는 책과 저자와 주인공들을 읽다 보면 그의 독서 편력이 놀랍기만 합니다. 문제는 독서의 대상이 온통 편력 기사 소설이라는 데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언제든지 그의 머리는 기사 소설에 등장하는 전투, 마법, 연애 사건, 황당무계한 사건과 같은 환.. 2021. 5. 4.
상상력과 ‘다오’[the Tao]를 양식으로 삼은 편력 기사,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1) 상상력과 ‘다오’[the Tao]를 양식으로 삼은 편력 기사,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1) 문학 작품의 배경에는 그것이 배태된 시대 상황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우선은 판타지 소설이 아니라면 그 소설의 내용이 전개되는 역사적, 사회적 상황이나 문화적 환경이 마련됩니다. 주인공들이 태어나고 삶을 영위하는 가정환경과 성장 과정이 상세하게 묘사되는 경우도 잦습니다. 자기 작품의 개연성을 높이기 위한 소설가들의 노력인 셈입니다. 예컨대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은 스탈린의 전체주의 치하에 놓인 소련이라는 역사적 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였습니다. 찰스 디킨스의 “위대한 유산”을 통해 산업혁명 이후에 전개된 영국 사회의 명암을 접하게 됩니다. 토마스 만의 “마의 산”은 제1차 세계대전 전의 병적인 유럽 사회상을 그.. 2021. 4. 29.
“오래된 미래”에서 온 꿈의 교회 공동체 “오래된 미래”에서 온 꿈의 교회 공동체 (“코비드 이후의 새로운 시대를 꿈꾸며”란 제목으로 한 단체의 회지에 기고한 글을 소개합니다.) 과거는 “오래된 미래”(Ancient Futures)입니다. 코비드 이후의 시대를 조망할 때 가장 확고한 준거점은 과거에 존재합니다.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지만 과거 속에 이미 이전의 미래가 켜켜이 쌓여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도 팬데믹은 존재했고 그 세계적 유행병 후에 새로운 미래가 펼쳐졌습니다. 그 미래가 오늘날 코비드를 통과하는 우리에게 새로운 희망을 줍니다. 예컨대 14세기부터 시작된 르네상스의 경우가 바로 그러했습니다. 개혁주의 조직신학자인 존 프레임에 의하면 르네상스는 1350년부터 시작됩니다. 특별히 그 해를 지목한 이유는 아마도 유럽에서 창궐한 대역병(G.. 2020.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