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ppiness in Biblical Humanities
-Introduction-
Happiness comes from within. That's not to say that external factors aren't important; it's a matter of priorities. What's the point of having $244 trillion [the fortune of Bernard Arnaud, currently the richest man in the world] if you don't have peace and joy in your heart? What's the point of having $244 trillion if you have peace and joy in your heart? Your internal state is more important and given higher priority to than your external state. Once you're alive, you have to live first. If you eat, you have to live. You don't live to eat, but you eat to live. So there's nothing more foolish than not enjoying living because you're worried about what you're going to eat tomorrow. Worrying doesn't accomplish anything. It just wears you down, and wastes your precious life in the present moment. The thing is, present moment comes from within us.
-What to Think (WHAT)?: The Choice of Thought-
When we say that our present life is rooted in our inner world, we mean that we choose what we think about in the first place. The thoughts, the foundation of our life, are internal, and it's also the inner world that determines what and how we think about them. Fifty thousand thoughts pass through our minds every day. While some of them are self-directed, most of them are habitual or accidental. While you can't stop them from coming, you are in charge of which ones you choose to act on.
A character in Catherine May's “Wintering: How to Survive When Life is Frozen” (2020) exemplifies this. She's a woman named Maryanne who harbored unhealthy thoughts and chose the wrong person to marry. This is her rationale: “I was unhappy, and I took the view that I deserved nice things, and that buying them would make me happier.” There'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is thinking and her choice of a husband who was ‘financially incontinent’, not least because he would have been seen as a like-minded comrade. After five years of marriage, they divorced with £15,000 in debt. To make matters worse, her debts grew to £38,000 as she took on her incompetent husband's debts. She left the company she had been working for in a hurry and went bankrupt. However, as she gradually reduced her debt, she received an unexpected windfall that allowed her to pay off her debts in three years. This is what she later confesses.
“I’d spent all this money thinking that it would make me happier, and here I was, no happier than before. It was an important lesson: I wasn't the stuff I'd bought. I'd wanted it to give me some kind of status. I haven't lived a very big life, and I was trying to buy the life I aspired to.”
In other words, Maryanne's thinking goes like this: If she buys something nice with her money, she will have a very nice life because it gives her a certain social status. It's partially true that buying something with money gives you some kind of status. However, the connotations of the word ‘status’ in English have more to do with social and professional positions than economic ones, referring to the respect or importance that someone enjoys in public and in certain groups. Thus, it's a distortion of causality to say that the things you buy with money give you status. It's another leap of logic to say that status guarantees you a very nice life. In the case of our country, one only has to think of our unqualified former and incumbent presidents and unqualified members of Congress in order to realize how unfounded this notion is. And yet, look around us, and you will see that these ‘Maryannes’ are popping up everywhere. They get their expensive foreign or luxury domestic cars lining roads and parking lots across the country, believing that they will elevate their social status and earn them public respect. There are also many people who believe that ultra-luxurious large apartments are a necessity for a fancy, glamorous life. Just as Maryanne was unhappy living with these ideas, isn't our society proving that individuals and communities who follow the same path as hers are never happy?
But I wonder if some of these ‘Maryannes’ would say to the original Maryanne, “You bought those things with debt. Buy them with the money you have. You'll get status and you'll get happiness.” While I admire them for being wealthy enough to pay cash for such expensive things in this jungle of a world, I don't envy them for buying them to show off their economic status and create their own happiness. While I don't think there's much point in making further comments on the rising sense of accomplishment and euphoria due to their rising status, I do hope that Leonardo da Vinci's words will give them pause for thought: “There are three classes of people: those who see, those who see when they are shown, those who do not see.” The point is that the foundation of happiness that comes from within is choosing what to think about.
So how can we take a proactive approach to thinking about what to think about, and which of those thoughts to act on? We need to intentionally think about the things that are most meaningful and valuable in our lives, and act on the thoughts that relate to those things. For Christians, we already have some guidance. The Bible commands us to seek first “the kingdom of God and his righteousness.” (Matthew 6:33) We are told to work to ensure that God's sovereign rule is realized in our own lives and in the world at large, and that “justice, mercy, and faithfulness” (Matthew 23:23) are embodied in our daily lives. This aspect of being a member of God's kingdom should occupy our thoughts. Then we need to stay in close relationship with God, not only by listening to His Word and meditating on it constantly, but also by relying on the guidance and power of the Holy Spirit to guide us in specific obedience to His Word.
The same is true for those who do not believe in God. They must always be vigilant and strive to keep their internal circuits running on universal principles and values that transcend culture, century, and continent. They must stay awake to consciously think in accordance with those principles and values, or it is only a matter of time before they are swept away by the winds of the world, which are self-centered and driven by money, power, fame, or popularity. Once you're in the grip of it, it's very hard to get out of it. Listen to a Korean poet Nohae Park sharing in his poem, “One Fresh Lemon”. It begins like this: “The mission of a lemon is to be squeezed / To the last drop”, and then applies it to life. “I've only got one life here / If I don't squeeze it to its purpose / The means of life will squeeze my life.” Staying awake and choosing good thoughts is the foundation of happiness.
-How to Think (HOW)?: The Choice of Mindset-
Another reason why happiness emanates from within us is that our inner perspective and insights also shape the significance of our external circumstances. Many of the external situations we encounter are the outcomes of seeds each of us has sown in the past, echoing the biblical notion, “for whatever a man sows, this he will also reap” (Galatians 6:7). This principle is universally acknowledged as people around the world construct their lives in diverse ways. Few would dispute that the current devastating pandemics and catastrophic climate change can be traced back to our species' historical pursuit of rapid growth. However, what makes this causality disconcerting is the myriad examples that appear to be exceptions. On one hand, we often lament the apparent lack of fruitfulness from the good seeds we plant. Many are disappointed because the harvest is disproportionately meager given the amount of good seed they planted. Others, despite sowing good seed, find themselves besieged by a continual stream of suffering and persecu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ose who plant bad seeds but enjoy a plentiful harvest of good fruit, causing frustration among onlookers. Alongside these instances, numerous coincidences in our lives lack discernible causes. In all these scenarios, the crux lies in choosing a healthy perspective and insights about them.
Allow me to share a personal example. It's not uncommon for individuals to pass judgment or misunderstand us, even those who profess to know us but fail to truly recognize our essence. However, if these judgments and misunderstandings start to erode our happiness, the responsibility lies with us, primarily because we may not have adopted a wise perspective towards them. So, what options are available to us in such situations? To begin with, we can opt not to accept these judgments, much like the Buddha did. When faced with baseless accusations, he explicitly stated that he did not accept them and emphasized that they belonged to the accuser. By refusing to internalize the accusations, he prevented them from affecting his happiness. Furthermore, even if we find ourselves reacting to accusations with anger, we can learn to swiftly release that anger. This aligns with the guidance offered in the Bible: “BE ANGRY, AND YET DO NOT SIN; do not let the sun go down on your anger” (Ephesians 4:26). The Buddha elaborated on the rationale behind this advice, likening holding onto anger to consuming poison and expecting the other person to die. Finally, there's an additional perspective shared by the Korean poet Nohae Park in his poem, "The Critic." Park treasures an insight about those who criticize him without truly knowing him. Instead of resenting them, he approaches their criticism with gratitude. He envisions their arrows missing the target, allowing him to accurately assess his position. He concludes with the lines, “They ask me to be there / And stay there / But I'm already here / And I'm becoming new every day.” The wisdom conveyed here is to view feedback that misses the mark as a tool for self-assessment, and then to let it go. Embrace and relish the mature, evolved version of yourself that such feedback reveals.
Next, let me present a collective example—a dramatic one. Earlier this year, Iran experienced a period of public protest and resistance against the Islamic government. The catalyst for this unrest was the death of Mahsa Amini on September 16 of the previous year. She had been arrested by the Morality Police for wearing a hijab with her hair showing in a subway station. Iranians swiftly took to the streets, joining the demonstration and chanting slogans like “Women, Life [or Living], Freedom.” The enraged Iranian government and groups of thugs responded with violence, firing on protesters and beating them, resulting in a rising casualty count. As of December 8, 2022, at least 322 people had been killed. Faced with the absurdity of a woman's death due to her hijab, the Iranian people's response was not silent acceptance but a movement of civil disobedience. They moved beyond the anti-hijab movement to address fundamental issues in their society.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demanded a social transformation, seeking to eliminate gender discrimination and secure the freedom to live their lives—a transformation of the Islamic theocracy. Iranian women, in particular, have been active in protests against discriminatory policies since shortly after the 1979 Iranian Revolution. They are once again risking their lives, stating, “What happened to Mahsa Amini can happen to me.” We hope that the courageous and mature civil disobedience movement of the Iranian people will yield the beautiful fruits of their aspirations: the realization of a society where universal values and principles are promoted, individual diversity is respected, and people are free to build their lives.
In this way, our happiness depends on the thoughts we choose in our daily lives and how we respond to situations. However, a question arises: why is it so challenging to choose fair, true, and good thoughts or respond to external situations with a sound and wise outlook?
-WHY?: Freedom from Self-Centeredness-
It's simply because our inner world is profoundly self-centered. This concept, extensively discussed by the American writer David Foster Wallace in his 2005 commencement address at Kenyon College in the U.S., is termed the “automatic default setting” of our minds. Wallace emphasized that a liberal arts education is not about filling one with knowledge but about teaching how to think. When Wallace speaks of learning to think, he refers not to the capacity to think but to the choice of what to think about—deciding what to pay attention to and how to derive meaning from experience.
The problem lies in our inner world being egocentric, leaving us with a deeply ingrained, natural, automatic default setting that interprets everything through the lens of self. Wallace uses the term ‘default setting’ 12 times in his speech, lamenting a world where we've become slaves to this mindset, seemingly dead and unaware, content with leading comfortable, wealthy, and respected lives. He urges us to be attentive, to be aware of our surroundings, and to exercise the freedom to choose to care for and serve others in ordinary ways. He concludes that staying conscious and alive in the adult world daily is an unimaginably difficult education but one worth striving for—the job of a lifetime.
The self-centered ‘default setting’ Wallace highlights is the premise of literature, a constant in human history, and the fundamental human problem the Bible points to. It's the fundamental wickedness that St. Augustine's phrase ‘original sin’ refers to—a motivationally twisted heart existing before actual sins are committed. This inner sinfulness is the root of all actual sin, and the idea of original sin includes inheriting this sinful tendency from the first man, “Adam,” in a mysterious yet real way. This reflects the biblical view of Adam as “our first representative before God” rather than merely the first human to sin. This understanding explains why the term Adam is used both as a proper name and as a common noun referring to the entire human race. If an individual's transgression can never be private, it makes sense that the transgression of the representative of humanity can reverberate throughout the universe. The mystical aspect of original sin aligns with the representation of Adam being directly tied to the representation of our Savior Jesus Christ. The Bible calls Jesus “the last Adam” (1 Corinthians 15:45) or “the second man” (1 Corinthians 15:47) because the gospel lies in the last human representative saving humanity by paying with his life for the sin committed by the first human representative.
So, how do we escape this self-centeredness? The biblical solution is the renewal of the mind by turning away from self to God, which is what ‘repentance’ is all about. When we turn away from our self-centered attitudes and turn to God, our hearts are transformed. A heart of stone is removed, and a new heart, as soft as flesh, is given (Ezekiel 36:26). This new heart results from God's Spirit working in our souls. We must nurture and cultivate this new heart; otherwise, we remain in a childlike state, “carried about by human trickery and cunning, tossed to and fro, and carried about by every wind of instruction” (Ephesians 4:14). We are given a new heart, but without planting new seeds, watering them, and nurturing them to produce beautiful fruit, it becomes a weedy place. Human history is filled with tragedies of this oxymoron: new weedy hearts.
How can we cultivate this new heart? First and foremost, we need to understand God better through the Bible. While intellectual understanding is crucial, it must connect with the emotional aspect of communing with God and the volitional aspect of obeying God's Word. This involves exploring not only positive virtues through the actions of Jesus but also negative examples to avoid. Additionally, we need to continually expose ourselves to “images of virtue in action” and “vicarious practice in exercising virtue” through the humanities. This helps develop “habits of mind” and “ways of thinking and perceiving” (Karen Swallow Pryor). Like David Wallace, Karen Pryor, a professor of English literature, believes that “GREAT BOOKS TEACH US HOW (NOT WHAT) TO THINK”
-Concluding Remarks-
“The Golden Secret” by Yong-kyu Kim introduces a remarkable comment regarding a couple, Ari (Aristotle Onassis, a Greek ship-owner), and Tina, who seem to have all the external circumstances for happiness.
“Happiness is an emotion that comes from a person's internal capacities rather than their external conditions. Therefore, to be happy, a person must nurture the ability to cultivate and enjoy happiness above all else. It's like you have to develop the ability to listen to music to enjoy it, and you have to develop the ability to appreciate art to enjoy it. If you can't appreciate music, you can't enjoy it just by collecting good records. Similarly, someone who doesn't appreciate art can't enjoy it if they only collect expensive art.”
Understanding that happiness is rooted in our inner world and that the key lies in choosing our thoughts and responding to our surroundings is just the beginning of building happiness. This inner ability to think needs to be cultivated and nurtured in real life. Hopefully, through discussion and practice at the intersection of the Bible (God's revelation from heaven) and the humanities (moving toward heaven from the earth), the habits and dispositions of thinking maturely and acting virtuously will bear more abundant fruit in us. (The End)
<번역>
성서인문학의 행복론
-들어가는 말-
행복은 자기 안에서 비롯됩니다. 외부적인 요소들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이 아닙니다. 우선순위의 문제라는 말입니다. 244조나 되는 재산(현재 전 세계 최고 부자인 베르나르 아르노의 재산)을 가지고 있어도 마음속에 평화와 기쁨이 자리 잡고 있지 않다면 무슨 소용입니까? 그 반대로 마음속에 평강과 희락이 넘친다면 244조나 되는 재산을 소유하는 게 무슨 대수일까요? 외부 상황보다 내적 상태가 더 중요하고 우선적입니다. 그리고 일단 살아 있다면, 사는 게 우선입니다. 먹었다면 살아야 합니다. 먹기 위해 사는 게 아니라, 살기 위해 먹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내일 무엇을 먹을까 염려하느라 삶을 누리지 못하는 것보다 어리석은 일은 없습니다. 염려하는 것 자체가 이루는 일은 아무것도 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몸과 마음을 지치게 할 뿐이지요. 더구나 현재라는 소중한 삶의 현장을 허비하게 합니다. 그런데 그 현재적 삶이 바로 우리 내면에서 비롯된다는 것입니다.
무슨 생각을(WHAT)?: 생각 내용의 선택-
현재의 삶이 내면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말은 우선 무엇을 생각할 것인지를 자기가 선택한다는 말입니다. 삶의 토대인 생각 자체도 내면적인 것이지만, 그 생각의 내용과 방식을 결정하는 곳도 내면세계입니다. 하루에 ‘오만’ 가지 생각이 우리 마음을 오갑니다. 자기가 주도적으로 생각하는 것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습관적으로 떠오르거나 우연히 마음을 스치는 것들이지요. 그러므로 떠오르는 생각들을 막을 수는 없겠지만, 어떤 생각을 취할 것인가는 자기 책임입니다.
캐서린 메이의 “우리의 인생이 겨울을 지날 때”(“Wintering: How to Survive When Life is Frozen”) 속에 등장하는 한 사람이 그 실례가 됩니다. 건전하지 못한 생각을 품고 삶을 영위하던 중 잘못된 결혼 상대를 고른 메리앤이라는 여성입니다. “나는 불행했어. 그런데 나는 좋은 것들을 가질 자격이 있고, 그것들을 사면 더 행복해질 거라는 생각을 품고 있었지.”(I was unhappy, and I took the view that I deserved nice things, and that buying them would make me happier.) 그녀의 지론이었습니다. 이 생각과 그녀가 “경제적으로 자제력이 없는”(financially incontinent) 남편을 택한 것과는 긴밀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그가 자기와 같은 생각을 실천하는 동지로 보였을 테니까요. 결혼한 지 5년 만에 그들은 15,000파운드(2,500만 원)의 빚을 진 채 이혼하게 됩니다. 설상가상으로 무능한 남편의 빚까지 떠안게 되어 그녀의 빚은 38,000파운드(6,080만 원)까지 늘게 됩니다. 급기야 다니던 회사를 나오면서 파산하게 되지요. 그렇지만 그 이후로 점차로 빚을 줄여 가던 중에 뜻하지 않은 소득(an unexpected windfall)이 생겨 3년 만에 빚을 다 청산하게 됩니다. 그녀가 나중에 한 고백이 이러합니다.
“나는 이 모든 돈을 다 쓰면 더 행복해질 거라고 생각하고 다 써버렸어. 결국 이렇게 됐지. 이전보다 전혀 행복하지 않아. 이게 중요한 교훈이었어. 나는 내가 사는 물건이 아니었다는 거야. 나는 그 물건이 내게 어떤 지위를 부여해주기를 바랐어. 내가 아주 근사한 인생을 살고 있지 못해서, 내가 선망하는 인생을 돈으로 사려고 했던 거지.”(‘I’d spent all this money thinking that it would make me happier, and here I was, no happier than before. It was an important lesson: I wasn’t the stuff I’d bought. I’d wanted it to give me some kind of status. I haven’t lived a very big life, and I was trying to buy the life I aspired to.’)
정리해보면 메리앤의 생각은 이러합니다. 돈으로 멋진 물건을 사면 그 물건이 자기에게 어떤 사회적 지위를 부여해 줌으로써 아주 근사한 삶을 누리게 된다. 돈으로 어떤 물건을 사면 그것이 어떤 종류의 지위를 부여해 준다는 것은 부분적으로는 맞는 말입니다. 남이 사지 못하는 값비싼 물건을 샀다면 그것만으로도 경제적인 지위는 부여되는 법이니까요. 그렇지만 영어에서 ‘status’라는 단어가 품고 있는 함의는 경제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사회적이고도 전문적인 위치(social and professional position)와 관련이 깊고, 누군가가 공적이고 특정한 그룹에서 누리고 있는 존경(respect)이나 권위(importance)를 가리킵니다. 결국 돈으로 산 물건 때문에 지위가 생긴다는 말은 인과관계의 왜곡이지요. 한발 더 나아가 그 지위가 아주 멋진 삶을 보장해 준다는 것은 또 다른 논리의 비약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격 미달의 전, 현직 대통령들이나 함량 미달의 국회의원들을 한번 떠올려 보기만 하면 이 생각이 얼마나 근거 없는 환상인지 절감할 수 있으니까요. 사정이 이러한데도 우리 주위를 둘러보면 이런 ‘메리앤’들이 삼천리 방방곡곡에 등장합니다. 값비싼 외제 차나 고급 국산 차가 자기의 사회적 신분을 상승시키고 공적인 존경을 받게 해 준다고 믿는 이들이 전국 온 도로와 주차장을 주름잡고 있습니다. 초호화 대형 아파트가 근사하고 폼 나는 인생의 필수요소로 믿는 이들 또한 부지기수입니다. 이런 생각을 품고 살아가던 메리엔이 불행했듯이, 그녀와 똑같은 전철을 밟고 있는 개인과 공동체가 결코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작금의 우리 사회가 증명하고 있지 않습니까?
그런데 혹시 이런 메리앤들 중에 오리지널 메리앤에게 이런 멘트를 날리는 이들이 있지 않을까요? “너는 빚으로 그런 물건들을 사서 그래. 자기 수중의 돈으로 그것들을 사 봐. 지위도 얻고 행복도 얻을 수 있을 테니까.” 이 정글 같은 세상에서 그렇게 값비싼 것들을 현찰로 살 수 있을 만큼 부를 일군 그들이 경이롭긴 하지만, 경제적 지위를 자랑하고 자기만의 행복을 구가하기 위해 그것들을 구입하는 그들이 부럽지는 않군요. 그들의 지위 상승 성취감(sense of accomplishment)과 행복감(euphoria)을 두고 왈가왈부하는 것이 더 이상 의미 있을 것 같진 않지만,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한 말이 그들에게 잠시나마 묵상 거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세상에는 세 종류의 사람이 있다. 보려는 사람, 보여주면 보는 사람, 보여줘도 안 보는 사람이다.” 요점은 자기 안에서 비롯되는 행복의 근간은 무엇을 생각할 것인지를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라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주도적으로 무슨 생각을 하고, 떠오르는 생각 중에는 어떤 것을 취해야 할까요? 각자의 삶에서 가장 의미 있고 가치 있는 것들을 의도적으로 생각하고, 이런 것들과 연관된 생각들을 취해야 하겠지요. 그리스도인들에게는 그 지침이 이미 마련되어 있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먼저 추구하라고 명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마태복음 6:33). 하나님의 주권적 통치가 나 자신과 온 세상에 편만하게 실현되도록 하는 일과 “정의와 자비와 신의”(마태복음 23:23)가 우리의 일상적 삶 속에서 구현되도록 하는 일에 진력하라는 말씀입니다. 이러한 하나님 나라 백성 노릇의 이모저모가 우리 생각을 사로잡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하나님과 긴밀한 관계를 지속해 가야 합니다. 당신의 말씀에 귀 기울이고 그 말씀을 지속적으로 묵상하는 것뿐 아니라, 그 말씀을 구체적으로 순종하는 데 있어 성령의 인도와 능력을 의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을 믿지 않는 이들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문화와 시대와 지역을 초월해서 존재하는 보편적 원리와 가치가 자신들의 내부 회로에 작동되도록 늘 주의를 기울이고 애써야 합니다. 그 원리와 가치에 부합하는 생각을 의식적으로 할 수 있도록 깨어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기중심적이면서도 돈과 권력과 명예 혹은 인기를 좇는 세상 풍조에 휩쓸려 가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입니다. 본격적으로 그 세상 풍조에 밀려가게 되면, 그것에서 벗어나기란 여간 난감한 일이 아닙니다. 박노해 시인이 “싱그런 레몬 한 개”라는 시 속에서 “레몬의 사명은 쥐어짜지는 것 / 한 방울도 남김없이 쥐어짜지는 것”이라고 서두를 열고는 그런 상황을 인생에 빗댄 것에 귀 기울여 보세요. “여기 단 한 번뿐인 인생을 / 삶의 목적에 짜내어주지 않는다면 / 삶의 수단이 내 인생을 쥐어짜리라” 늘 깨어 있어 좋은 생각을 선택하는 것이 행복의 근간을 이룹니다.
-어떻게 생각을(HOW)?: 생각 방식의 선택-
행복이 우리 내면에서 비롯되는 다른 이유는 외부적인 환경의 의미를 결정하는 것도 내적인 시각과 통찰력에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직면하는 외부 환경 중 대부분은 각자가 과거에 심은 씨앗의 열매입니다. “사람이 무엇으로 심든지 그대로 거두리라”(갈라디아서 6:7)라는 성경 말씀 그대로이지요. 각양각색으로 삶을 일구어 가는 온 세상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정하는 우주적인 원리입니다.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참혹한 팬데믹과 파국적인 기후 변화가 성장 일변도로 직진해 온 우리 인류의 과거에 기인한다고 믿지 않을 이들은 거의 없습니다. 그렇지만 이 인과율이 우리를 괴롭게 하는 이유는 그것의 예외로 보이는 일들이 셀 수 없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자기가 심은 좋은 씨앗이 열매 맺지 않아서 고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기가 심은 좋은 씨앗의 양에 비해 그 수확이 너무 빈약해서 실망하는 이들도 적지 않습니다. 심지어는 자기가 좋은 씨앗을 심었지만, 고난과 핍박이라는 쭉정이 세례를 받는 이들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와는 반대로 좋은 씨앗을 심기는커녕 나쁜 씨앗만 심은 이들이 온갖 좋은 열매들을 풍성하게 누리는 경우들은 바라보는 이들을 좌절하게 만듭니다. 이런 경우들 외에도 그 원인을 도무지 알 수 없는 우연한 일들이 우리 인생사에는 단골손님처럼 다가옵니다. 이 모든 경우에 긴요한 것이 바로 그러한 것들에 대해 건전한 시각과 통찰력을 선택하는 일입니다.
먼저 개인적인 예를 한 가지 들겠습니다. 우리를 안다고 하면서 정작 우리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보지 못하는 이들이 우리를 비난하거나 오해하는 일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그렇지만 그런 비난과 오해가 우리의 행복을 앗아간다면, 그것은 우리 자신의 책임입니다. 그 비난과 오해에 대해 지혜로운 안목을 선택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이때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안목은 어떤 게 있을까요? 우선은 그것들을 수용하지 않는 방법이 있습니다. 개그맨 박영진처럼 “그건 니 생각이고.”라고 반응하는 것이지요. 부처님도 그렇게 하셨다고 합니다. 자기를 향해 근거 없는 비난을 해대는 사람에게 그 비난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하시면서 그것은 그의 것이라고 지적하신 것이지요. 그 비난은 결국 그에게 머물러 있게 되어 그만 불행해질 뿐이었습니다. 다음으로 설령 그 비난에 화를 내며 반응했더라도, 그 화를 재빨리 덜어내는 방식이 있습니다. “분을 내어도 죄를 짓지 말며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고”(에베소서 4:26)라는 성경 말씀이 권고하는 방향입니다. “화를 붙들고 있는 것은 독약을 마시고 상대가 죽기를 기대하는 것과 같다.”라는 부처님 말씀이 가리키는 지혜이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박노해 시인이 발휘한 방식이 있습니다. 박 시인은 “비난자”라는 시 속에서 자기를 알지도 못하고 비난하는 사람에 대해 자기가 취한 통찰력을 한 가지 나누고 있습니다. 그는 그 비난자를 참 고마운 자기의 일꾼으로 여긴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가 자기에게 쏜 화살이 빗나가는 것을 보고, 자기가 자기의 위치를 올바로 점검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서 이렇게 덧붙이지요. “그들은 나에게 거기에 / 그렇게 머물러 있으라 요구하나 / 난 이미 여기 와있고 / 나날이 새로와지고 있는 중이니” 과녁을 빗나간 피드백은 자신의 성장을 확인하는 도구로 삼고 놓아 버리는 게 지혜라는 것입니다. 그 피드백으로 드러난 성숙하고 진전된 자신의 모습을 기뻐하고 누리면 되지요.
다음으로 집단적인 예를 한 자기 소개합니다. 극적인 실례입니다. 현재 이란에서는 회교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시위와 저항 활동이 한창입니다. 그 기폭제가 된 것은 작년 9월 16일에 마흐사 아미니(Mahsa Amini)라는 여성이 지하철역에서 머리카락이 삐져나오게 스카프[히잡]를 썼다는 죄목으로 도덕 경찰에 체포되었다가 구금 중에 사망한 사건이었습니다. 이란인들은 즉각적으로 거리로 나와 데모에 가담하기 시작하면서, “여성, 생명[혹은 삶], 자유”(“women, life, freedom”)라는 구호를 외치기 시작했습니다. 화들짝 놀란 이란 정부와 폭력배 무리들이 시민들에게 발포하고 그들을 구타하던 중에 사상자들이 날이 갈수록 늘게 되었습니다. 2022년 12월 8일 현재까지 적어도 322명이 죽임을 당했습니다. 히잡 때문에 한 여성이 비참하게 희생당한 어처구니없는 사태를 두고 이란인들이 선택한 것은 체념 어린 침묵이 아니라 시민 불복종 운동이었습니다. 히잡 반대를 넘어 자기들 사회의 근원적인 문제에까지 생각을 진전시킨 결과였지요. 그리하여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연대하여 성차별이 불식되고 삶의 자유를 구가할 수 있는 사회 변혁, 즉 회교 신정 통치 체제의 변화를 요구하게 된 것입니다. 특히 1979년 이란 혁명 직후부터 히잡 착용을 비롯한 여성 차별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에 적극적으로 가담해 온 이란 여성들이 이번에도 “마흐사 아미니에게 일어난 일은 내게도 일어날 수 있다.”라고 고백하며 목숨을 내건 투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모쪼록 이란인들의 용감하고 성숙한 시민 불복종 운동이 그들의 소원대로 보편적 가치와 원리가 선양되고 각 개인의 다양성이 존중되며 자유롭게 삶을 일구어 갈 수 있는 사회 구현이라는 아름다운 열매로 맺히기를 기원합니다.
이렇듯 우리의 행복은 우리가 평상시에 무슨 생각을 선택하고, 우리에게 일어나는 상황에 대해 어떤 생각으로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생기지 않습니까? 일상생활 중에 공정하고 진실하며 선한 생각을 선택하거나, 외부 상황에 대해 건전하고 지혜로운 안목으로 응대하기가 왜 그토록 힘이 들까요?
-왜 그런 생각을(WHY)?: 자기중심성으로부터의 자유-
단적으로 우리의 내면세계가 지독하게도 자기중심적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작가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David Foster Wallace)가 지난 2005년에 미국 캐니언 대학(Kenyon College)의 졸업식사에서 진지하게 논의한 내용입니다. 그는 이 자기중심성을 우리 마음의 “자동적인 초기 설정 상태”(default setting)라고 일컬었습니다. 그 연설문의 요지는 이러합니다. “인문학[혹은 교양 과목]은 지식을 채우는 것에 대한 학문이 아니라 ‘생각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학문이다.”(“a liberal arts education is not so much about filling you up with knowledge as it is about ‘teaching you how to think.’”) 월리스가 생각하는 법이라고 할 때, 그것이 가리키는 바는 ‘생각할 수 있는 능력’(the capacity to think)이 아니라, ‘생각할 내용을 선택하는 것’(the choice of what to think about)입니다. 즉 무엇에 주목할 것인가를 선택하고 경험에 근거하여 의미를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이 그 핵심이라는 것이지요.
그런데 문제는 우리 내면세계가 문자 그대로 자기중심적이 되어 이 자기라는 렌즈(this lense of self)로만 모든 것을 보고 해석하려는 뿌리 깊고 자연스러운 자동적인 초기 설정 상태(default setting)에 놓여 있다는 것입니다. 월리스는 이 ‘default setting’이란 표현을 그 연설문 속에서 무려 12번씩이나 사용하면서, 죽은 것처럼 자각 없이 이런 상태의 종으로 지내면서도 그저 편안하고 부유하고 존경받는 삶을 영위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세상 풍조에 대해 개탄하고 있습니다. 도리어 주의를 기울이고 주변을 인식하면서 날마다 무수하게 많은 사소하고 평범한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을 돌보아 주고 그들을 위해 헌신하는 선택을 하는 자유를 누리라고 권면하지요. “날마다 깨어 있으면서 성숙한 세계 속에 살아가기”(to stay conscious and alive in the adult world day in and day out)란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힘든 교육의 장이지만, 우리가 힘써야 할 평생 과업(the job of a lifetime)이라고 역설하며 연설을 맺습니다.
월리스가 지적한 인간의 자기중심적인 ‘default setting’은 문학 작품의 전제입니다. 인류 역사의 상수입니다. 성경이 지적하는 인간의 근본 문제이기도 합니다. 성서상의 표현은 아니지만, 아우구스티누스가 사용한 ‘원죄’(original sin)라는 표현이 가리키는 인간의 근원적인 사악함(sinfulness)이지요. 이 범죄성은 태어날 때부터 모든 사람들을 특징짓는 것으로서 실제적인 죄(actual sins)를 짓기 이전에 “왜곡된 방식으로 자극된 마음”(motivationally twisted heart)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 내면적인 죄성이 모든 실제적인 죄의 뿌리이자 근원인 셈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이런 죄의 경향성을 신비롭지만 실제적인 방식으로 첫째 인간인 ‘아담’으로부터 물려받았다는 점도 이 원죄라는 개념 속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담을 단순히 하나님께 범죄한 최초의 인간이라기보다는 “하나님 앞에서 존재한 최초의 인간 대표자”(“our first representative before God”)로 인식하는 성서적 관점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아담이란 단어가 고유명사이면서도 사람 혹은 인류 전제를 가리키는 보통명사로 사용되는 이유를 알 수 있는 대목이지요. 개인의 범죄도 결코 사적일 수 없다면, 인류 대표자의 범죄는 그 파장이 전 우주에 미칠 수 있다는 게 타당하지 않나요? 이런 아담의 대표성이 급기야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의 대표성과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할 때 원죄의 신비로운 측면이 납득될 수 있습니다. 성경은 예수님을 “마지막 아담”(“the last Adam”, 고린도전서 15:45), 또는 “둘째 사람”(“the second man”, 고린도전서 15:47)으로 부르고 있기 때문이지요. 최초의 인간 대표자가 범한 죄악의 대가를 마지막 인간 대표자가 자기의 목숨으로 지불함으로써 인간을 구원했다는 것이 성경의 복음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요? 성서적인 해결책은 하나님께로 돌이킴(turning away from self to God)으로써 마음을 새롭게 하는 것(the renewing of mind)입니다. 이것이 바로 ‘회개’(repentance)입니다. 우리가 자기중심적인 태도에 등을 돌리고 하나님께로 돌이키면 우리 마음이 변혁됩니다(be transformed). 우리에게서 돌같이 굳은 마음이 제거되고 살갗처럼 부르러운 새 마음이 부여됩니다(에스겔 36:26). 하나님의 영이 우리 영혼에 작용한 결과이지요. 새로워진 이 마음을 가꾸고 단련해가야 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어린아이의 마음 상태로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어린 아이의 특징은 “인간의 속임수나, 간교한 술수에 빠져서, 온갖 교훈의 풍조에 흔들리거나, 이리저리 밀려다니”는 것입니다(에베소서 4:14). 새로운 마음이라는 땅이 부여되었지만, 거기에 새로운 씨앗을 심고 물을 주고 가꾸어 아름다운 열매를 맺도록 하지 않는다면 거기는 잡초만 무성한 곳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지요. 인류의 역사는 이 ‘잡초만 무성해진 새로운 마음’(new weedy hearts)이라는 모순어법(oxymoron)이 빚어낸 온갖 참극들로 점철되어 있습니다.
이 새로운 마음을 가꾸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우선 성경 말씀을 통해 하나님을 더 알아가야 합니다. 지적인 이해가 선행되긴 하겠지만, 그 지적 측면은 정서적으로 하나님과 교제하는 측면과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가는 의지적인 측면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특히 예수님의 행적을 통해 우리가 좇아야 할 긍정적인 덕목들을 모색해야 하지만, 그릇된 삶을 영위한 부정적인 사례들을 통해서도 피해야 할 성품들을 탐구함으로써 마음의 성숙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인문학을 통해 “행동하는 덕의 이미지”(images of virtue in action)와 “덕을 발휘하는 대리적 실천”(vicarious practice in exercising virtue)을 지속적으로 접함으로써, “마음의 습관”(habits of mind) 및 “사고하고 인식하는 방식”(ways of thinking and perceiving)이 자라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캐런 스왈로우 프라이어). 데이비드 월리스와 마찬가지로, 영문학 교수인 캐런 프라이어도 “위대한 책들은 생각하는 법(생각할 내용이 아니라)을 가르친다”[GREAT BOOKS TEACH US HOW (NOT WHAT) TO THINK]라고 역설하고 있으니까요.
-나가는 말-
김용규 작가의 “골든 시크릿”에 보면 행복을 위한 모든 외적 환경을 갖추고 있는 ‘아리’(그리스 선박왕인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와 ‘티나’ 부부에 대한 코멘트가 한 자락 등장합니다.
“행복이란 한 인간이 가진 외적 조건보다는 내적 능력에서 나오는 감정이다. 그래서 사람은 행복해지려면 다른 무엇보다도 스스로 행복을 가꾸고 즐길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그것은 마치 음악을 즐기려면 음악 감상 능력을 길러야 하고, 미술품을 즐기려면 미술 감상 능력을 길러야 하는 것과 같다. 음악을 감상할 줄 모르는 사람이 좋은 음반만 모은다고 음악을 즐길 수는 없다. 마찬가지로 그림을 감상할 줄 모르는 사람이 비싼 그림만 모은다고 그림을 즐길 수 없다.”
행복의 근간이 우리의 내면세계에 있고, 그 핵심은 일상생활 중에 무슨 생각을 할 것인가와 주위 환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반응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데 있다는 점을 아는 것은 행복 짓기의 시발점에 불과합니다. 그 생각하는 내적 능력을 실생활을 통해 가꾸고 길러가야 합니다. 모쪼록 하늘로부터 내려온 하나님의 계시인 성경 말씀과 땅에서 하늘을 향해 나아가는 인문학이 만나는 접점에서 진행되는 논의와 실천을 통해, 성숙하게 생각하고 덕스럽게 행동하는 습관과 성품이 우리 속에 더욱 풍성하게 열매 맺기를 소원합니다.
'학(學)-평생에 걸쳐 학습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혐오, 배제, 폭력의 문화를 돌파한 ‘습지 소녀’의 송가, 델리아 오언스의 “가재가 노래하는 곳”(1) (2) | 2023.06.10 |
---|---|
우리나라 문화를 선도한 한 작곡가를 기리며 (2) | 2023.02.22 |
성서인문학의 키워드: 분별(Prudence) (2) | 2023.02.10 |
“하나님의 선교”로 본 선교적인 삶 (3) | 2022.12.23 |
설교, 천국 시민 교육 현장 (2) | 202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