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배우고 글 쓰고 나누는 제 마음에 사랑이 흘러넘치게 하소서

심(心)-마음을 따르라24

환상적인 초록 불빛에 자신을 던진 로맨티시스트,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3) 환상적인 초록 불빛에 자신을 던진 로맨티시스트,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3) -서부와 동부의 문제-닉의 마지막 고백 속에 이 작품의 주제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이야기가 결국 서부의 이야기였다는 것”(this has been a story of the West, after all)입니다. 초록 불빛을 좋다 간 개츠비와 그의 지지자였던 닉뿐 아니라, 더러운 먼지의 부유물에 속하는 톰과 데이지와 조던도 모두 아우르는 “서부인들”(Westerners)의 이야기였다는 것이지요. 그들은 모두 중서부 출신들로서, 동부의 삶에 적응하지 못하는 결함을 공유하고 있었습니다. 동부의 세계는 서부 출신들을 아주 흥분시키기도 하고 서부 지역 도시들보다 훨씬 우월하긴 했지만, 그곳은 언제나 뒤틀린 구석(a.. 2021. 7. 20.
환상적인 초록 불빛에 자신을 던진 로맨티시스트,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2) 환상적인 초록 불빛에 자신을 던진 로맨티시스트,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2) -초록 불빛을 쫓다 간 제이 개츠비-한 여인만 일편단심으로 사랑한 감성적 면모>개츠비는 오직 한 여인만을 사랑하다 갔습니다. 장교 시절에 만난 데이지라는 부잣집 여성이었습니다. 처음에는 그녀와의 교제를 잠시 즐기다가 그냥 떠나려고 했습니다. 그게 자기 마음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그녀의 사랑을 얻는 일에 자신의 모든 것을 다 바친 것을 깨닫게 된 것입니다. 나라의 부름을 받아 전쟁터에 나가 혁혁한 공을 세우면서도 그는 그녀와의 재회만을 꿈꾸었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에 빨리 귀국하려고 서둘렀지만, 무슨 행정 착오가 있었던지 정부는 그를 바로 귀국시키지 않고 옥스퍼드에 묶어 둡니다. 그 사이에 그를 기다리던 데이지는.. 2021. 7. 18.
환상적인 초록 불빛에 자신을 던진 로맨티시스트,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1) 환상적인 초록 불빛에 자신을 던진 로맨티시스트,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1) 우리나라가 7월 2일 자로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에서 선진국으로 지위가 변경되었습니다. 외교부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세계 10위 경제 규모, 서울 녹색미래(P4G) 정상회의 개최, G7 정상회의 참석과 같은 사례에서 드러난 세계적인 경제 수준과 국제적 위상이 반영된 결과라고 합니다. 이미 국제 사회에서 여러 가지 지표를 통해 선진국으로 분류되던 우리나라의 위상을 공식적인 국제 기관을 통해 인정받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제부터는 국제 사회에서 그 위상에 걸맞은 국제적 역할과 책임을 감당해 가는 전기가 될 수 있으.. 2021. 7. 11.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한다는 유로지비, 도스토옙스키의 “백치” 미쉬낀 공작(3)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한다는 유로지비, 도스토옙스키의 “백치” 미쉬낀 공작(3) -영혼에 씨 뿌리며 살기- 이 작품의 제목처럼 미쉬낀 공작이 ‘백치’로 묘사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예컨대 예빤친 장군의 집에서 공작이 가브릴라에게 나스따시야 사진을 잠시 빌려 달라고 할 때 가브릴라가 공작을 백치라고 부릅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주제에 뭐 그렇게 떠벌리고 다니냐는 비아냥거림에서 나온 말입니다. 예빤친 장군 가족들 중에 리자베따나 아글라야도 그를 백치로 부르기도 하고 그렇게 여긴 경우가 있었습니다. 특히 리자베따는 자기 친척이라는 그를 다루기 힘들고 세상도 모르며 사회적 지위도 없는 바보라고 부르면서, 그를 사위 삼겠다고 자기 막내딸 아글라야를 고이 길러 왔는지 한탄하기도 합니다. 예브게니도 공작을 백치라고.. 2021. 3. 11.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한다는 유로지비, 도스토옙스키의 “백치” 미쉬낀 공작(2)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한다는 유로지비, 도스토옙스키의 “백치” 미쉬낀 공작(2) -칼날 아래 살기: 자존감 없는 삶- 퇴역 장교였던 아버지와 어머니 슬하에서 살던 나스따시야는 일곱 살 때 부모를 잃은 후에 또쯔끼의 배려로 보호를 받아 오다가 열두 살 때 그의 눈에 띄여 가정교사를 통해 개인 교육을 받게 됩니다. 그러다가 열여섯 살 때부터 “환희”라는 또쯔끼의 영지에서 4년 간 지내게 됩니다. 그 기간 동안 또쯔끼는 매년 여름마다 2-3개월씩 그곳에 머물다 가곤 했지요. 그 당시에 바로 자제력이 결여된 호색한인 그의 면모가 드러나 그녀를 범합니다. 그런데 한참 그의 혼사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릴 즈음에 그녀는 또쯔끼가 사는 뻬쩨르부르그로 혈혈단신으로 찾아옵니다. 그가 어떤 여자와 결혼하든 상관없지만 지금의.. 2021. 3. 9.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한다는 유로지비, 도스토옙스키의 “백치” 미쉬낀 공작(1)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한다는 유로지비, 도스토옙스키의 “백치” 미쉬낀 공작(1) 제 경우에는 책을 두 번 읽을 때 비로소 그 의미가 더욱 분명하게 다가옵니다. 특히 소설의 경우에 처음 읽을 때는 등장인물들의 이모저모와 줄거리의 전개를 따라가느라 정신이 없습니다.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내용이나 심오한 의미를 띤 문장들을 놓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물론 처음부터 가슴에 와 닿는 사건이나 감동적인 인물이나 심금을 울리는 문장들을 발견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대개는 두 번 읽으면서 새로운 교훈이나 신선한 사상을 깨닫게 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예컨대 책 두 권 분량의 장편인 토마스 만의 “마의 산”도 그러했지만, 중편에 속하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무수하게 많은 복잡한.. 2021.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