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배우고 글 쓰고 나누는 제 마음에 사랑이 흘러넘치게 하소서
문맥 묵상으로 풀어 쓰는 성경

금세와 내세: 죽은 후에 천국에 들어갈 자신이 있다?

by 이승천(Lee Seung Chun) 2019. 8. 1.

 

 

<Bilingual Version>

금세와 내세: 죽은 후에 천국에 들어갈 자신이 있다?

얼마 전 참석한 교회 예배 시간에 다른 교회에서 온 목사님이 설교한 적이 있습니다. 모든 교회 구성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세대통합예배를 드리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로서 서로가 지체임을 확인하는 시간이 될 뿐 아니라 어른들의 신앙이 다음 세대에까지 순적하게 잘 전수되기를 비는 마음으로 드린 예배였습니다. 그 취지에 맞게 그동안 특히 어린이 신앙 지도에 열과 성을 다해 온 강사를 모셨습니다. 아동부터 장년까지 함께 참석한 예배였지만 모두가 즐겁게 말씀을 듣고 화답한 예배였습니다. 그런데 그 목사님은 우리나라 주일학교에 학생들이 너무 적게 출석해서 문제가 되고 있기도 하지만 이미 출석하고 있는 학생들도 구원의 확신이 없어 문제가 되고 있다는 점을 설교 중에 여러 번 지적했습니다. “오늘 죽으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느냐?”라는 질문을 하면 제대로 확신 있게 답하는 주일학교 학생들이 별로 없다는 것이지요. 이런 질문에 확실하게 답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어야 할 책임이 주일학교 교사들과 어른 성도들에게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 질문을 접하다 보니 제가 대학 다닐 때 캠퍼스에서 사영리나 다리예화로 전도하는 이들이 학생들에게 접근해서 감초처럼 활용하던 똑같은 질문이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한두 단어가 첨가 혹은 대체되기도 하지만 대체로 비슷한 유형을 띠고 있었습니다. “오늘 죽으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느냐?” 혹은 “오늘 죽으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자신(믿음)이 있느냐?” 고국에 돌아와 여러 곳에서 참석한 예배 시간이나 특별 집회 시간에도, 다양한 곳에서 만난 성도들에게서도 여전히 이것과 유사한 질문을 접할 수가 있었습니다. 목회자들 중에는 이 질문을 성도들이 더욱 신앙생활에 정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성도들 중에는 지금 이렇게 신앙생활하며 살고 있지만 죽고 난 후에 천국에 들어갈 자신은 없다고 말하는 이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곰곰이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이 질문은 너무 피상적인 질문이자 신학적으로도 왜곡된 질문이라는 평가를 내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그 질문이 낳은 폐해도 적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 질문의 문제점이 하나님의 나라의 개념과 연관될 수도 있지만, 성경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간관에 대한 오해와 관련 맺을 수 있다고 봅니다. 잠깐 성서적인 시간관을 설명해보면 이렇습니다. 예수님께서 공생애를 시작하시면서 가장 먼저 하신 말씀이 무엇이었을까요? 사복음서 중에 가장 먼저 기록된 마가복음에 의하면 “때가 찼다”(The time is fulfilled.)라는 선언이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 최초의 일성이었습니다. "때가 찼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왔으니 회개하라"(1:15)라는 문맥입니다. 그때가 바로 예수님의 때이자 하나님의 나라가 임한 때였습니다. 성서가 제시하는 인류 역사는 바로 하나님의 아들로서 온 우주의 주님 되신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 임하시는 사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결정적인 역사의 한 시점에 당신의 이름(“주님께서 구원하신다”는 의미) 그대로 예수님께서는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자”(마태복음 1:21)로 이 세상에 임하셨습니다. 성경을 읽어가다 보면 그때가 보다 세부적으로는 예수님의 죽으심과 부활을 가리키고 있음이 드러납니다. “이르시되 성안 아무에게 가서 이르되 선생님 말씀이 내 때가 가까이 왔으니 내 제자들과 함께 유월절을 네 집에서 지키겠다 하시더라 하라 하시니”(마태복음 26:18).

 

주목할 점은 성경이 그때를 또한 말세 혹은 마지막 때로 지칭하고 있다는 점입니다(히브리서 1:2, 베드로전서 1:20, 사도행전 2:17, 요한일서 2:18). 하나님의 구속 경륜을 좇아 이 세상에 오신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돌아가시고 사흘 만에 부활하심으로써 결정적으로 우주적인 구원을 확보하신 때가 바로 인류 역사의 마지막 시점이라는 것입니다. 연이어 오순절에 성령께서 오신 것도 동일한 말세(the last days)라는 시각으로 설명되고 있으며 적그리스도가 출현하게 된 것은 그야말로 “마지막 시간”(the last hour)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때로부터 2천 년이 지나도 아직 이 세상의 끝날(the end of the age)(마태복음 28:20)이 도래하지 않은 상황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한편으로는 하나님께는 “하루가 천 년 같고 천 년이 하루 같다”(베드로후서 3:8)는 사실을 기억하면서 당신께서 “너희를 대하여 오래 참으사 아무도 멸망하지 아니하고 다 회개하기에 이르기를 원하시”(3:9)기 때문이라는 점과 연관되어 있을 것입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 말세라는 과거 시점에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는 사실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언급한 말세와 직결되는 “이 세대(this age), 이 세상(this world), 금세(the present age) 혹은 현세”(로마서 12:2, 에베소서 1:20-21, 디도서 2:11-13, 마가복음 10:29-30, 누가복음 20:34-35)와는 차원이 다른 “오는 세상(the age to come), 저 세상(that age), 내세”라는 시대가 막을 열었습니다. 인간의 욕심과 죄악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사단의 속임수와 기만이 노골적으로 드러나 있는 악한 “이 세대, 이 세상, 현세, 금세”가 예수 그리스도의 초림과 더불어 결정적으로 막을 내리고 새로운 시대 혹은 세상이 펼쳐졌습니다.

 

성경은 다양한 방식으로 예수님께서 새로운 시대를 여신 것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 오심으로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새로운 시대가 열렸습니다(마태복음 12:28). 부활하신 이후에 예수님께서는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셔서 "금세와 내세의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에베소서 1:21) 주님이 되셨습니다. 우리는 이제 하늘의 은사를 맛보고 성령에 참여한 바 되었을 뿐 아니라 내세의 능력을 맛보게 되었습니다(히브리서 6:4-5). 우리는 이미 어둠의 권세에서 예수님의 사랑의 나라로 옮겨졌습니다(골로새서 1:13). 영적으로는 이미 예수님과 함께 부활하여 예수님과 함께 하늘에 앉힌 바 되었고(에베소서 2:6-7)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 속에 숨겨 있습니다(골로새서 3:3). 이런 영적 차원을 고려해보면 사도 요한이 우리가 지금 영생을 얻었다 혹은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겼다고 천명하고 있는 것이 충분히 납득이 됩니다(요한복음 3:36, 5:24). 영생이란 단어에서 사용되는 영원하다(aionios)는 용어의 의미가 질적인 풍성함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우리가 장차 부활 이후에 온전히 참여하게 될 그 생명을 지금 누리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전히 금세와 내세 간에 미래의 과도기가 존재하는 게 사실입니다. 신학에서 말하는 "Already but not yet"도 결국엔 이 두 시대가 계속 진행되어 가는 긴장 관계를 일컫는 표현입니다. 고린도전서 10:11 ("말세를 만난 우리를 깨우치기 위하여")에서 언급되고 있는 "말세"(the ends of the ages)는 결국 "두 시대가 중첩된 시점"(overlapping of the two times)이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그 과도기라는 것도 우주적인 구속의 완성(consummation)에 대한 기대감을 품고 존재하고 있을 뿐입니다. 이미 예수님 안에서 하나님의 목적이 결정적으로 성취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현재 상태를 보자면 육신적으로는 금세(시공간적으로)에 살고 있지만 영적으로는 이미 내세에 살고 있는 것이지요. 우리 각자의 육신적인 경우로 볼 때는 내세가 미래의 일이겠지만 우주적으로는 내세가 이미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내세가 이미 진행 중이라는 점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현재 하나님 보좌 우편에서 온 우주를 통치하고 계신다는 점만 보아도 자명해집니다. 이미 세상 떠난 성도들은 지금 내세를 누리고 있습니다.

 

자 이제 한 번 더 “오늘 죽으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자신이 있느냐?”라는 질문을 생각해볼까요? 지금까지의 논의에 의하면 우리는 현재 예수님을 믿고 당신과 연합됨으로 하나님 나라 혹은 영생 혹은 내세를 누리며 살아갑니다. 온전한 실체는 미래의 것이겠지만 주님과 긴밀하게 교제하는 경험과 성령께서 내주하시고 통치하시는 역사를 통해 그 실체를 미리 맛보고 누리며 우리 인생을 영위해갑니다. 우리의 몸이 세상을 떠나는 날 혹은 예수님께서 재림하시는 날 그 온전한 실체를 누리는 새로운 장으로 인도될 것입니다. 현재 하나님 나라 혹은 영생 혹은 내세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면 나중에 따로 들어갈 하나님의 나라 혹은 영생 혹은 내세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순간 우리는 예수님과 함께 다시 살게 되어 영생을 누림으로 이미 내세에서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측면을 몸으로 평생 본보이다가 지난 2013년 5월 8일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댈라스 윌라드(Dallas Willard)가 평소에 자주 한 말이 있습니다. “내가 죽을 때 그것을 깨닫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릴 거야.”(I think that when I die, it might be some time until I know it.) 예수 그리스도를 믿은 후에 영적으로 부활하여 예수님의 영원한 생명에 거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죽음이 자기에게 닥쳐도 그 사실을 즉각적으로 깨닫지는 못할 것이라는 유머러스한 신앙 고백이었습니다. 이런 그였기에 언젠가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질문 받았을 때 이렇게 답변한 것도 무리가 아니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의지하고 당신과 하나님 속에 흐르는 생명을 받은 사람들은 결코 죽음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라고 특별히 언급하셨다. (...)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이 결코 사는 일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에 비추어 어떻게 살 것인가를 그들에게 보여주고 계신다.”

 

성서 속에 다양한 방식으로 계시되어 있는 이런 영적 실상에도 불구하고, 오늘 죽으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자신(믿음)이 있느냐?라고 묻는 것은 마치 하나님 나라 혹은 영생 혹은 내세를 누리는 것이 전적으로 미래의 일이라고만 상정할 뿐, 현재 이미 진행되고 있는 영적 상태라는 것을 부인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또한 이 질문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 혹은 영생을 누리는 것이 단지 각 개인이 품고 있는 믿음에만 달려 있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 또한 큽니다. 물론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것 혹은 당신과 연합되는 것에 달려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지만 그 믿음이 참된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됩니다. 귀신들도 하나님이 한 분이신 줄 알고 믿고 떤다고 하면서 행위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라고 성경이 경고하고 있는 것(야고보서 2:19-20,26)은 우리 믿음이 참된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방증이 아닐까요? 사실상 구원의 확신이 없는 성도들에게는 다시 사영리 혹은 다리 예화식 복음을 제시한 후 다시 예수님을 영접하는 “신앙의 강화”를 꾀하기보다는 복음의 진면목을 확연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일과 더불어 성경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원받은 이가 맺어야 할 삶의 열매를 점검해보도록 인도하는 게 더 바람직할 것으로 봅니다.

 

<Translation>

The Present Age and the Age to Come: Are You Confident of Entering Heaven After Death?

Not long ago, during a church service I attended, a pastor from another church gave the sermon. It was a multigenerational worship service where all members of the congregation gathered together to worship, a time meant not only to confirm that we are one body in Christ but also to pray that the faith of the older generation would be faithfully passed down to the next. In line with this purpose, the guest speaker was someone who had dedicated much of his life to guiding children in their faith. Despite being a service attended by both children and adults, it was a joyful time where everyone listened to the Word and responded with enthusiasm.

 

During the sermon, the pastor pointed out multiple times that not only are too few students attending Sunday schools in our country, but even among those who do attend, many lack assurance of their salvation. He highlighted that when asked, "If you were to die today, would you be able to enter God’s kingdom?" very few Sunday school students are able to answer with certainty. He emphasized that it is the responsibility of Sunday school teachers and adult believers to help guide these children toward being able to answer such a question with confidence.

 

Hearing this question reminded me of a similar one frequently used by campus evangelists during my university days when they approached students with tools like The Four Spiritual Laws or the Bridge Illustration. Though the phrasing varied slightly, the question was essentially the same: “If you were to die today, would you be confident that you would enter God’s kingdom?” or “Do you have faith that you would go to heaven if you died today?” After returning to my home country, I noticed that I continued to encounter this question during church services, special gatherings, or conversations with various believers. Many pastors used this question as a tool to encourage believers to live more earnestly in their faith. Yet, it was not uncommon to meet Christians who confessed that despite living a life of faith, they still lacked confidence in entering heaven after death. Upon deeper reflection, however, I couldn't help but feel that this question is overly superficial and theologically distorted. This leads me to believe that this type of question may cause unintended spiritual harm.

The Issue with the Question: Misunderstanding God’s Kingdom and Biblical Timeframes

The problem with this question is not just its implications about God’s kingdom but also its connection to misunderstandings about the biblical concept of time. To briefly explain the biblical perspective on time: What was the first statement Jesus made when He began His public ministry? According to the Gospel of Mark, the earliest written of the four Gospels, Jesus declared, “The time is fulfilled” (Mark 1:15). This marked the beginning of His public ministry. In context, Jesus said, “The time is fulfilled, and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repent and believe in the gospel.” This was the moment when Jesus ushered in God’s kingdom. The history of humanity, as presented in Scripture, is centered on the coming of Jesus Christ, the Son of God and Lord of all creation, into the world. The pivotal point of this history is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which secured universal salvation. This is why the Bible often refers to this moment as the "last days" or "the end times" (e.g., Hebrews 1:2, 1 Peter 1:20, Acts 2:17, 1 John 2:18).

 

Despite 2,000 years having passed since then, the final day of this world (the "end of the age" mentioned in Matthew 28:20) has not yet arrived. How should we understand this? On the one hand, we must remember that "with the Lord one day is as a thousand years, and a thousand years as one day" (2 Peter 3:8). This delay reflects God’s patience and desire for all to come to repentance (2 Peter 3:9). On the other hand, this also signifies that a new age began with Jesus’ first coming.

 

This dual perspective is reflected in terms like this age, this world, the present age, or the current era (Romans 12:2, Ephesians 1:20-21, Titus 2:11-13, Mark 10:29-30, Luke 20:34-35), which contrast with the age to come or the world to come. With Jesus’ coming, the sinful and corrupt "present age" dominated by human greed and Satan’s deceptions has been brought to an end, and a new era has dawned.

The Present and Future Realities of God’s Kingdom

The Bible describes Jesus ushering in this new age in various ways. Jesus’ arrival marked the coming of God’s kingdom (Matthew 12:28). After His resurrection, He ascended to the right hand of God and became "the Lord over all names in this age and in the age to come" (Ephesians 1:21). As believers, we have already tasted the heavenly gift, shared in the Holy Spirit, and experienced the powers of the age to come (Hebrews 6:4-5). Spiritually, we have been transferred from the domain of darkness into the kingdom of Christ (Colossians 1:13). We have been raised with Christ and seated with Him in heavenly places (Ephesians 2:6-7), and our lives are hidden with Christ in God (Colossians 3:3). Because of these spiritual realities, the Apostle John could declare that believers already possess eternal life and have passed from death to life (John 3:36, 5:24).

 

While there is still a transitional tension between the present age and the age to come, theologians often describe this with the phrase "already but not yet." This refers to the overlapping of the two ages. God’s redemptive purpose has already been decisively accomplished in Jesus Christ, but its consummation remains in the future. Physically, we live in this present age, but spiritually, we are already living in the age to come. For individuals, the age to come may seem like a future reality, but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it is already unfolding.

Reexamining the Question: Confidence in Entering Heaven

Given this understanding, let’s revisit the question: “If you were to die today, would you be confident of entering God’s kingdom?” Based on the discussion so far, believers are already living in God’s kingdom, experiencing eternal life and the age to come through union with Christ. While the fullness of this reality will be experienced in the future, we are already tasting it now through fellowship with Christ and the indwelling work of the Holy Spirit. If someone is not currently experiencing the kingdom of God or eternal life, there is no separate future moment when they will suddenly enter it. From the moment we believe in Jesus, we are spiritually resurrected and begin living in His eternal life.

 

This idea is beautifully summarized by Dallas Willard, a theologian who devoted his life to such reflections until his passing in 2013. He often remarked humorously, "I think that when I die, it might be some time until I know it." This was his way of expressing that, as a believer, death does not interrupt the eternal life he was already living in Christ. When asked what death means, he once explained, “Jesus said that those who trust Him and receive the life that flows through Him and God will never experience death. (...) Jesus was showing His disciples how to live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y would never stop living.”

Moving Beyond Superficial Questions

Despite the profound spiritual truths revealed in Scripture, asking “If you were to die today, would you be confident of entering heaven?” implies that experiencing God’s kingdom and eternal life is solely a future reality. It also risks giving the impression that salvation and eternal life depend entirely on an individual's personal confidence or faith, neglecting the need for genuine transformation and the fruits of faith. As James warns, even demons believe in God and tremble (James 2:19-20, 26). Instead of focusing on repeated professions of faith or simplified gospel presentations, it is more beneficial to help believers understand the true essence of the gospel and guide them in examining the fruits of salvation in their l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