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lingual Version>
원행(遠行)과 근거리 여행
지난달 말에 가족과 함께 순천을 다녀왔다. 열흘 전에는 강의차 대구를 방문했다. 순천까지는 1시간 40분이 걸렸고, 대구까지는 2시간 반이 걸렸다. 자가용 여행일 경우에 2시간이 넘으면 한번은 쉬어가야 한다. 2시간이 넘지 않으면 별로 멀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그런데 이 2시간이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여겨지는 때가 있다. 너댓 시간이 걸리는 거리를 달릴 때이다. 거제도에 살면서 가장 멀리 간 것은 양평까지였다. 5시간 반이었다. 그곳을 가다 보면, 2시간 반쯤은 가뿐히 넘어간다. 대구까지의 물리적 거리가 달라진 것은 없지만, 심리적 거리가 그만큼 짧아진 덕이다. 장거리 여행을 할 때, 단거리 경유지까지 가는 게 별로 힘들지 않게 느껴지는 것이 다른 영역에도 적용된다. 긴 기간을 목표로 상정하면 짧은 기간 경험하는 어려움이 별로 힘들지 않게 느껴지는 법이다. 이런 원리를 확연하게 보여주는 역사적, 일상생활 속의 예들이 즐비하다.
역사적 사례 몇 가지만 들겠다. 첫째,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 1929-1968)의 인권 운동을 보라. 그는 인종 평등과 정의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 장기적인 목표는 체포, 폭력적 반대, 만연한 편견과 같은 단기적인 어려움을 겪는 활동가들에게 희망과 인내심을 주었다. 예를 들어,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1955–1956)은 1년 이상 지속되었지만, 분리 정책 철폐라는 더 큰 목표를 염두에 두고 있었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 둘째,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 1918-2013)의 수감 생활을 보라. 넬슨 만델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인종 차별 정책)를 종식하려는 장기적인 목표를 품고, 27년 동안 감옥에서 격리와 고난을 견뎠다. 매일의 고난 속에서도 그의 비전은 그에게 희망과 인내를 지속할 수 있는 힘을 제공했으며, 그의 수감 생활은 결국 자유롭고 평등한 남아프리카를 향한 여정의 일부가 되었다. 셋째, 우리나라 독립운동가들의 헌신을 보라. ‘누가 일본이 망할 줄 알았나?’라고 망발한 이들이 수두룩한 일본강점기에도, 기약 없지만 언젠가 반드시 성취될 조국의 독립을 꿈꾸며 자신의 목숨을 초개같이 내던진 의사와 열사들이 적지 않았다.
일상생활 사례도 몇 가지만 들겠다. 첫째, 교육과 경력 개발 영역이다. 학위 취득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늦은 밤 시각까지 공부하고, 재정적 어려움을 겪으며, 때로는 의심에 빠지기도 한다. 그러나 의사나 엔지니어나 교육자가 되겠다는 장기적인 목표는 각 시험이나 과제를 하나의 발판으로 느끼게 한다. 둘째, 운동 목표 영역이다. 마라톤을 준비하거나 체중 감량을 이루기 위해서는, 매일 훈련하고,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며,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마라톤 완주나 건강한 몸을 얻겠다는 비전은 이러한 일시적인 불편함을 극복하게 하는 것이다. 셋째, 부모 역할 영역이 있다. 아이를 키우는 과정은 잠 못 이루는 밤, 재정적 부담, 정서적 도전을 동반한다. 그러나 많은 부모는 장차 자녀가 행복하고 책임감 있는 어른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기대하며 이러한 희생을 감내한다. 이 모든 사례에서 장기적인 비전은 나침반처럼 작용하여 단기적인 노력에 의미를 부여하고, 현재 경험하는 즉각적인 장애물이나 고통스러운 경험의 난이도를 줄여주는 것이다.
이 원리를 적용해 가는 중에 만나는 중대한 난관 한 가지가 있다. 악인들이 출현해서 우리 각자의 앞길을 막거나 사회적인 혼란을 야기하는 것이다. 우리 각자가 설정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자신의 욕망과 불편을 극복하는 데 드는 고통이라면 문제가 없다. 초기에는 그 고통이 크게 느껴지더라도, 서서히 그것에 적응해 가면서 날마다 달라지는 자신의 모습이나 조금씩이나마 목표에 가까워지는 상황에 위로를 받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과정에서 특정 타인이 장애물로 등장하여 우리의 길을 가로막거나 위해를 가한다면, 문제는 달라진다. 이런 상황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전개되기도 하지만, 공동체적인 차원에서도 펼쳐질 수 있다. 작금에 우리나라 사회가 직면한 상황이다. 12월 3일에 현 대통령이 비상계엄령을 발동했다. 이미 ‘제왕적 권력’이라고 평가받는 권능을 자기가 마음껏 발휘하는 상황 가운데서, 더 큰 권력을 휘두르겠다고 시도한 ‘친위 쿠데타’였다. 헌법의 기준과 절차에 반하는 위헌적인 계엄령 발동이었을 뿐 아니라, 국회의 권능를 마비시키고자 국회의사당을 침탈한 내란 행위였다. 검사 시절부터 자신이 선보인 온갖 기괴하고 오만한 행태들을 눈감아 주고 대통령이라는 국가 최고의 직책을 맡기기까지 신뢰를 선사한 국민에게 총부리를 겨눈 것이다.
이런 엄연한 ‘내란 수괴’를 탄핵하기 위해 첫 단추를 꿰는 데, 무려 2주가 걸렸다. 그를 비호하는 여당 국회의원들의 방해 공작 때문이었다. 절대다수의 국민이 이미 심판하고 정죄한 내란과 반란의 우두머리인 대통령이 더 이상 국가에 위해를 가하지 않도록 직무를 정지시키는 일을 막는 그들은 도대체 누구인가? 자기와 자기가 속한 정치 집단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국가의 안위와 국민의 안녕까지도 가뿐히 제칠 수 있는 비인간(非人間)들이다. 자기들까지도 다 검거해서 특정 장소에 가두어두고 학대할 수도 있었던 대통령과 그 내란 일당을 방호하는 그들이 과연 제정신인가. 더구나 그 반란군들이 다른 야당 대표들을 체포할 뿐 아니라, 자기 당 대표를 살해할 의도를 품고 있었다는 소문이 들리는 마당이 아닌가. 이런 비인(匪人)을 대통령으로 뽑고, 이런 비인간들을 국회의원으로 선출한 게 우리 사회라는 게 아이러니 중 아이러니다. 전제군주제에 살고 있는 것도 아니고, 독재 체제 가운데 생활하는 것도 아닌데도, 왜 우리는 거듭 이렇게 비인간적이고 비도덕적인 면모를 확연하게 보인 이들을 우리의 대표로 선택하는 걸까? 그들을 공복(公僕)으로 삼아 우리가 얻으려고 하는 이익이란 게 과연 무엇일까? 다시 한번 우리 자신의 내면을 돌아볼 시점이다.
지난 역사를 돌이켜보면 이런 비인들과 비인간들은 시시때때로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여 국가의 존망을 위태롭게 했다. 현재와 같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그러한 자들을 우리 손으로 뽑았다면, 먼저 우리가 스스로 대오각성해야 한다. 두 번 다시 그런 자들에게 속지 않도록. 혹시 일시적인 오판으로 그러한 자들을 선출했다 하더라도, 그런 자들의 본색이 드러날 때 반드시 즉각 그들을 탄핵하거나 심판해야 한다. 그들이 아니라 바로 우리가 이 나라의 주인이기 때문이다. 1년만 지나면 자기들의 비행이 잊힐 테니 걱정하지 말라고 망발하면서 자기들 편에 서라고 후배 국회의원을 설득한 비인간을 보고도 분노가 일지 않는가. 그렇지만 그 분노는 먼저 우리 모두 속에 내재한 죄악의 실체에 대한 영적 각성이어야 한다. 다음으로 그런 비인간을 법적으로, 정치적으로 처단하는 공적 차원이어야 한다. 그래야 우리의 죄성에 낙심하지 않고, 인격적으로 성숙해가며, 장기 목표를 향해 전진해 갈 수 있다. 이것은 특정 정당을 지지하고 다른 정당을 홀대하거나 악마화하는 문제가 아니다. 우리가 현재 살아가고, 우리가 장차 후손에게 물려줄 대한민국 공동체의 보전과 안녕을 위해 옳고 그름을 가리고, 헌법 정신에 입각하여 잘잘못을 따지는 차원이다. 그리고 우리가 지향하는 목표는, 자랑스러운 ‘민주적 세계시민’(democratic world citizen)이 가득 찬 국가 공동체, 공의(public justice)와 형제애(brotherly love)가 강같이 도도하게 흐르는 빛나는 대한민국을 일구어 내는 일이다. 이 지구 생태계가 우리의 삶을 지탱해 주기를 멈추는 그 마지막 날이 임하기 전에, 이런 국가 공동체를 한번쯤 이루어 보고 한껏 누려 보아야 하지 않겠는가?
<English Translation>
Long-Distance and Short-Distance Travel
At the end of last month, I visited Suncheon with my family. Ten days ago, I traveled to Daegu for a lecture. It took 1 hour and 40 minutes to get to Suncheon and 2.5 hours to reach Daegu. When traveling by car, if the trip exceeds two hours, it's necessary to take a break. If it’s less than two hours, the journey doesn’t feel particularly long. However, there are times when even two hours feel like nothing—such as when traveling distances of three or four hours.
The furthest I’ve traveled from my home in Geoje was to Yangpyeong, a journey of 5.5 hours. On trips like these, the first two and a half hours seem to fly by. Although the physical distance to Daegu remains the same, the psychological distance feels shorter, thanks to the perspective gained from longer trips. This principle also applies to other areas of life: when we aim for a long-term goal, short-term challenges feel less daunting. History and everyday life are full of examples that illustrate this principle clearly.
Historical Examples
- Martin Luther King Jr. (1929–1968): King’s civil rights movement centered around the vision of racial equality and justice. This long-term goal provided activists with hope and perseverance despite facing arrests, violent opposition, and widespread prejudice. For instance, the Montgomery Bus Boycott (1955–1956) lasted over a year but succeeded because the activists kept their eyes on the larger goal of dismantling segregation policies.
- Nelson Mandela (1918–2013): Mandela endured 27 years of imprisonment with the long-term goal of ending apartheid in South Africa. Despite daily hardships, his vision gave him hope and perseverance, and his imprisonment became part of the journey toward a free and equal South Africa.
-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many doubted that Japan would ever fall. However, countless patriots sacrificed their lives, driven by the dream of eventual independence. Their faith in the long-term vision sustained them through unimaginable struggles.
Everyday Life Examples
- Education and Career Development: Students pursuing degrees face long nights of studying, financial difficulties, and occasional self-doubt. However, their vision of becoming doctors, engineers, or educators transforms each exam or assignment into a stepping stone.
- Fitness Goals: Training for a marathon or achieving weight loss requires daily exercise, healthy eating, and enduring discomfort. The vision of completing the marathon or attaining a healthier body helps overcome these temporary challenges.
- Parenting: Raising children involves sleepless nights, financial burdens, and emotional challenges. Yet, many parents endure these sacrifices in the hope of seeing their children grow into happy, responsible adults.
In each of these cases, a long-term vision acts as a compass, giving meaning to short-term efforts and reducing the perceived difficulty of immediate obstacles.
Addressing Obstacles: Societal and Personal
One significant challenge to applying this principle arises when malevolent forces obstruct our paths or cause societal chaos. Overcoming personal discomfort for the sake of achieving one’s goals is manageable; as time passes, one adapts to the effort and draws encouragement from progress. However, when others actively block your path, the challenge takes on a different dimension.
This situation is not just a personal issue—it can unfold on a communal scale, as seen in Korea’s current societal crisis. On December 3, the president declared martial law. This unconstitutional act, which violated the Constitution’s standards and procedures, was an attempted "self-serving coup" to wield even greater power than his already overwhelming authority. It was a treasonous act that paralyzed the National Assembly by raiding it.
Despite being deemed a "leader of rebellion" by the majority of the public, it took two weeks to initiate impeachment proceedings against the president due to obstruction by ruling party lawmakers. These individuals prioritized their political interests over the nation’s safety and well-being. How could they defend a president capable of turning on the very people who trusted him to lead?
Learning from History
History shows that such figures periodically emerge to endanger a nation’s survival. In a democracy, if we elect such people ourselves, it is imperative to reflect deeply on our choices. If their true nature becomes evident, we must act swiftly to impeach or judge them. After all, we, not they, are the true owners of this country.
Even if mistakes are made in the short term, we must remain committed to the long-term goal of building a nation filled with proud, democratic world citizens—a nation where public justice and brotherly love flow abundantly. Before the Earth’s ecosystems can no longer sustain us, shouldn’t we strive to create and enjoy such a community at least once in our lifetime?
'시(時)-장기적 시간 관점을 품으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이 온다 (26) | 2024.11.19 |
---|---|
‘사탄의 맷돌’에 갈리는 젊은이들 (25) | 2024.11.17 |
내 인생에 불행이란 없다 (1) | 2024.11.14 |
그리움은 갈망이다 (4) | 2024.11.12 |
일상의 성화에 자양분을 공급하는 ‘천사의 빵’,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4) (6) | 2024.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