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배우고 글 쓰고 나누는 제 마음에 사랑이 흘러넘치게 하소서
학(學)-평생에 걸쳐 학습하라

32. Authentic Freedom in Christ (그리스도 안에 있는 진정한 자유)

by 이승천(Lee Seung Chun) 2022. 6. 25.

Authentic Freedom in Christ

(Galatians 5:1-6)

 

-Introduction-

Good afternoon, Brothers and Sisters! Are you familiar with this book? “Zorba the Greek” (1946) written by Nikos Kazantzakis. It is said that many Koreans referred to it as the book of their life. What makes the book so popular among Koreans? A 35-year-old Greek intellectual tries to escape his bookish life through living and working together with 65-year old mysterious Alexis Zorba. The young narrator experiences a cataclysmic change in his outlook on life during the brief period of sharing life with Zorba, who lives every moment fiercely and seeks freedom without being bound to anything. He watches Zorba working hard every day, enjoying and praising food, sex, music, and all things in nature, keeping in mind that ‘You Only Live Once’ (YOLO) and you have to face death at any time. In fact, Zorba was said to be a real person, and beca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the life of the writer Kazantzakis, on the same level as Homer, Bergson, and Nietzsche. Did Zorba have an effect on the epitaph on the grave of Nikos Kazantzakis in Crete Island, Greece? It reads: “I hope for nothing. I fear nothing. I am free.” What did he mean by the freedom? Let me return to this question at the end of this sermon.

 

-Context-

Paul’s work in Galatia had been extremely successful. Sometime after Paul had left Galatia, certain Jewish teachers came along, insisting that Gentiles could not be Christians without undergoing circumcision and keeping the law of Moses. The Galatians responded to their teaching as eagerly as to Paul’s preaching. Could they really want to throw their freedom away (4:8-9)? What happened to make them change (4:12-20)? Those under the law are like the son Abraham had by his slave-woman, Hagar. But Christians are free-born heirs, like Isaac, to all God’s promises (4:21-25).

 

-Indicative & Command-

Verse 1 points up both an indicative and a command: “It was for freedom that Christ set us free; therefore keep standing firm and do not be subject again to a yoke of slavery.” (NASB) That “Christ has truly set us free” (NLT) is an indicative, and based on this indicative a command is given: “Don’t get tied up again in slavery to the law.” (NLT) If we refer to the Greek text of this verse, its semantic power hits home. The verse starts with only four words in Greek: (in order) ‘freedom’, ‘you’, ‘Christ’, and ‘set free’. The first noun and last verb (the two places of a Greek sentence where emphasis can be found) are concerned with freedom. The aorist tense of this verse emphasizes the fact of your being free at last. (Scot McKnight)

 

“Freedom is not free.” It was secured by the atoning death of our Lord Jesus Christ. The context tells us that this freedom is less related to the sinful nature than to the guilty feeling. Since Christ set us free preeminently for freedom, we must “stand fast” and “not be entangled again with a yoke of bondage” (NKJV). We have to live a marvelous life with this freedom, loving God with our whole being and love our neighbors as ourselves.

 

What then are the implications of the activities to run counter to this freedom? In a word, they are the activities to return to the old days of slavery. The Israelites in the wilderness are a case in point. Even though they were liberated from the bondage of the Egyptians, they kept on making attempts to return to Egypt, specifically when some difficulties or hurdles surfaced to their lives. They deemed the freedom troublesome and burdensome. They 'prefer peaceful slavery over dangerous freedom.', twisting the slogan of “Chicken Run”. The path to growth and maturity was too painful to them, not least because they had to be accountable for their own actions. They went on escaping from the freedom which God had granted by His sheer mercy and grace. This is the central idea of “Escape from Freedom” (1941) written by Erich Fromm: ‘If we cannot take on the responsibilities inherent in freedom, we will turn to authoritarianism.’

 

They are the carbon copy of the prisoners in the movie, “The Shawshank Redemption” (d. Frank Darabont, 1994). It introduces Andy Dufresne, a quiet banker who was convicted of murdering his wife and her lover. He tries to survive prison by clinging to hope, and finally succeeded in escaping from prison. One heart-rending episode in the movie is related to Brooks who had been put behind bars for 50 years, working as a prison librarian. Since he was given parole against his will, he had to get out of the prison. But he hanged himself in a caretaker’s house after finding that he was not able to adjust himself to the world. When the news reached the prison, Red, a veteran of the prison, said as follows: “But I’m telling ya. These walls are funny. First ya hate ‘em. Then you get used to ‘em. Enough time passes, you get so depend on ‘em. That’s institutionalized.”  

 

The prisoners who have been in the prison for a long time get so used to the life in the prison that they do not want to get out of it. This movie gives us a window through which we can make sense of the mental state of the Israelites in the wilderness. They had been in Egypt for more than 400 years, most of which they spent in slaving for the Egyptians. What were they thinking of when they happened to encounter unexpected foes as well as endless walking with grinding thirst in the heat and glare? Probably they may have wanted to go back to Egypt where at least peaceful slavery was guaranteed. That’s why God had to discipline them to grow and mature in the wilderness. Read the following verse:

 

(Lev. 26:13) “I am the LORD your God, who brought you out of the land of Egypt so that you would not be their slaves, and I broke the bars of your yoke and made you walk erect.

 

Repeatedly they needed to be reminded of the objective of the Exodus: Freedom for growth and maturity represented by ‘walking with your head held high’ (NLT). However, can you plumb the depth of God’s frustration when He had to face up to the Israelites who had the ingrained inertia to go back to Egypt in the wilderness?

 

This situation is true of those who tried to return to the old days of law through the circumcision rites, Paul claims. Circumcision itself is a neutral procedure which cannot be condemned as wrong, nor commended as right. Yet it is a prelude to the full-blown legalism in which we try to get righteous by works and be saved, just as living together is a entrée to marriage. It is a critical hinge on which the further devotional life enfolds in the direction of legalism. Those who tell us to be circumcised go on to command us to obey the law of Moses: “But some of the sect of the Pharisees who had believed stood up, saying, ‘It is necessary to circumcise them and to direct them to observe the Law of Moses.’” (Acts 15:5)

 

Furthermore, we cannot play down the fact that these legalistic activities lead to a devastating outcome, according to verses 2 and 4. 

 

(v. 2) “Behold I, Paul, say to you that if you receive circumcision, Christ will be of no benefit to you.”

(v. 4) “You have been severed from Christ, you who are seeking to be justified by law; you have fallen from grace.”

 

These legalists have to face a three-prolonged dire consequence: (1) No benefit from Christ (2) Cut off from Christ (3) Fallen away from God’s grace. No wonder Paul rails against this kind of legalism. What a disastrous situation they have! Let me ask you at this juncture. What makes Paul assert this kind of appalling repercussions of legalistic activities or attitudes? The following two verses (vv. 5-6) represent two reasons for this assertion. Each verse starts with conjunction ‘For’, which introduces the reason for something.

 

-Hope of Righteousness-

The first reason for such a dire situation is the necessity of our waiting for future salvation by faith: “For we through the Spirit, by faith, are waiting for the hope of righteousness.” (v. 5) At issue is ‘the hope of righteousness’, and this hope is the result of God’s grace and mercy, not the fruit of our own works or achievements. That’s why we have to wait for it by faith rather than work for it. Since we have to wait for this glorious ‘hope’ until the end, we need faith, impelled by the Holy Spirit.

 

Moreover, the target of our hope is ‘righteousness’, which goes beyond the state of being not guilty. It is the state of being legally declared in the right. Originally it was an old biblical concept: “the state of being in right relationship with someone, fulfilling one's covenant responsibilities.” (Karen Lee-Thorp) It was through the sacrificial death of Christ, our great priest, that we are able to enter this covenant relationship with God (Hebrews 10:19-21).

 

(Hebrews 10:19-21) “Therefore, brethren, since we have confidence to enter the holy place by the blood of Jesus, by a new and living way which He inaugurated for us through the veil, that is, His flesh, and since we have a great priest over the house of God,”

 

What then should we do? We have to “go right into the presence of God with sincere hearts fully trusting him”, and “hold tightly without wavering to the hope we affirm, for God can be trusted to keep his promise.” (10:22-23, NLT) Even though we can get direct access to the presence of God in the present moments, we have to wait patiently for the hope of living with Him forever in a resurrected body under the new heaven and earth.

 

-Faith Working through Love-

The second reason for such a dire situation is the ultimate concern of God about genuine love in action: “For in Christ Jesus neither circumcision nor uncircumcision means anything, but faith working through love.” (v. 6) Although faith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The only thing that counts is faith expressing itself through love.” (NIV) This verse has been recognized as the epitome of Paul’s theology, just as E. de Witt Burton commented on it in 1921: “For the disclosure of the apostle’s fundamental idea of the nature of religion, there is no more important sentence in the whole epistle, if, indeed, in any of Paul’s epistles.” The faith which Paul promotes is not a passive entity, merely giving intellectual assent to a set of beliefs, but an active one, leading to love in action. This principle of faith working through love paves the way for the instructions of Galatians 5:13-26.

 

I still remember that one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sked one question to us a whole class of “Introduction to Philosophy” in the first year of university: “What is freedom?” He just added that anyone who was able to give him a right answer would be awarded the grade of A plus on the spot regardless of further assignments and exams. He virtually asked each one of us in the class. Some classmates tried to answer, but could not satisfy him. Brothers and Sisters, what would your answer be to this question: "What is freedom?" Finally he wrote the answer consisting of just two words on the blackboard: “必然의 認識” (Recognition of Necessity). What do you think of this definition of freedom in relations to our discussion on ‘live a free life’ (The Message) or ‘stay free’ (NLT) or ‘keep standing firm’ (NASB)?

 

If the definition of necessity is ‘the fact that something must happen or exist’ (Collins Dictionary), something that must happen in our lives should be ‘faith working through love’. Genuine freedom is available when we get to recognize this fact. We stay free when we hold on to the principle of faith expressing itself through love, just as a train has freedom when it is placed on the right railway.

 

A final point to note is that the promotion of ‘the habit of meeting together’ (Hebrews 10:25, GNT) will ensure the stimulation of love and good deeds among ourselves.

 

(Hebrews 10:24-25) “and let us consider how to stimulate one another to love and good deeds, not forsaking our own assembling together, as is the habit of some, but encouraging one another; and all the more as you see the day drawing near.”

 

These verses take on new importance because they are directly preceded by the exhortation to trust God and hold to the hope, given to those who are saved by the blood of Jesus Christ.

 

Brothers and Sisters, what do you read the issue of circumcision rites to mean in our current Christian life? For instance, there are a lot of Christians in the world who are still plagued by strong feelings of guilt about their past wrongdoings. They do not seem to bother to relish the benefit of Christ’s redemptive work. Their action indicates that their confession of faith is just a lip service. They don’t acknowledge that Jesus truly set them free once and for all. As a result, they are set free to serve others, which they always wanted to do in their lifetime.  

 

-Wrap-Up-

Jesus Christ truly set us free. This is an incontrovertible spiritual reality, as obvious as the historic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His atoning death redeemed us from the curse of the law (2:4, 3:13, 5:1). We are His ‘free children’ in the presence of God the Father (4:21–31). Now we are living in life of the Holy Spirit (2 Corinthians 3:17, Romans 8:2). The true Christian experience is characterized by a faith of solid hope: it eagerly awaits God’s final verdict of ‘not guilty’ and righteousness, when He will vindicate His truth at last. On the one hand, this faith is generated and sustained by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On the other hand, this faith is very much fleshed out through the ministry of love in action. In a word, authentic freedom is to exercise love in action toward God and others with the faith of solid hope for righteousness through the Holy Spirit as the free children of God.

 

In the introduction section, I have asked you whether Zorba had an effect on the epitaph of Nikos Kazantzakis’s grave and what he meant by the freedom on it: “I hope for nothing. I fear nothing. I am free.” For Zorba (1946), freedom means freedom from country, religion, riches, conventions and morals, just as his following utterance indicates:

 

■Leaning against the wall, Zorba turned and looked at me: “That’s how I was saved,” he said. “Saved from your country?” “Yes, from my country,” Zorba answered in a calm, firm voice. A moment later: “Saved from my country, saved from priests, saved from money. No more sifting. I’m increasingly finished with sifting things out; I’m simplifying. How can I express it to you? I am freeing myself, becoming a human being.”

 

However liberating this statement sounds, it cannot do justice to all the facets of freedom represented by Kazantzakis’s life and works. “Saint Francis” (1953) is a case in point. It points up a different kind of freedom from the one in “Zorba the Greek” (1946): Freedom from one's own desires, such as the lusts of the flesh and worldly honor, just as the following confession indicates.

 

■“What happiness it is,” he kept saying to me, “what joy not to have any will, not to say ‘I’, but to forget who you are, what your name is, and to give yourself up with confidence to the puffs of God's wind! That is true freedom! If someone asks you who is free, Brother Leo, what will you reply? The man who is God's slave! All other freedom is bondage.”

 

In fact, Kazantzakis learned philosophy from Bergson and developed a bond with Nietzsche, then renounced Nietzsche to enter Buddhism, then from Buddhism to Lenin and later from Lenin to Odysseus, continuing his spiritual journey. At last he returned to Christ. As Peter Bien, who has translated several volumes of his works, points out, “When he returned finally to Christ, as he did, it was to a Christ enriched by everything that had come between." Therefore, it is a hasty conclusion to identify Kazantzakis with Zorba from the book alone. On the contrary, it is most sensible to say that he finally found this truth: “True freedom is freedom from my silly little self, in order to live responsibly in love for God and others.” (John Stott)

 

-Application Questions-

(1) What has prevented you from staying free in Christ?

(2) What do you mean by the saving faith?

(3) How do you distinguish between salvation by works and salvation for works?

(4) How do we promote ‘the habit of meeting together’, as opposed to giving it up?

 

Let’s pray.

 

<번역> 

그리스도 안에 있는 진정한 자유

(갈라디아서 5:1-6)

 

-들어가는 말-

안녕하세요, 형제자매 여러분! 이 책에 대해 잘 알고 계십니까? 니코스 카잔차키스가 쓴 “그리스인 조르바”(1946) 말입니다. 많은 한국인들이 그것을 자기들의 인생의 책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이 책이 한국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게 된 이유가 무엇일까요? 35세의 그리스 지식인 화자는 65세의 신비로운 알렉시스 조르바와 함께 살면서 책에 파묻힌 삶에서 벗어나려고 합니다. 매 순간을 치열하게 살고 어느 것에도 얽매이지 않고 자유를 추구하는 조르바와 삶을 공유하는 짧은 기간 동안, 이 젊은 화자는 삶에 대한 관점에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합니다. 그는 ‘한 번만 사는 인생’(YOLO)과 자기가 언제든지 죽음에 직면해야 함을 염두에 두면서도, 음식, 섹스, 음악 및 자연의 모든 것을 즐기고 찬양하며 매일 열심히 일하는 조르바를 관찰합니다. 사실 조르바는 실존 인물이라고 하는데, 호머, 베르그송, 니체와 같은 수준으로 작가 카잔차키스의 삶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 이 조르바가 그리스 크레타 섬에 있는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묘비명에 영향을 미쳤을까요? 이렇게 적혀 있지요. “나는 아무 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다.” 그가 말하는 자유란 과연 무엇일까요? 이 설교 말미에 이 질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문맥-

갈라디아에서 바울의 사역은 매우 성공적이었습니다. 바울이 갈라디아를 떠난 후 얼마 지나서 어떤 유대 교사들이 방문하여 이방인들이 할례를 받지 않고 모세의 율법을 지키지 않고는 그리스도인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갈라디아 교인들은 바울의 설교에 열성적으로 반응한 만큼 이 가르침에도 열성적으로 반응했습니다. 그들이 정말로 자유를 버리고 싶어할 수 있었을까요? (4:8-9) 무엇이 그들을 변화시켰을까요? (4:12-20) 율법 아래 있는 자들은 아브라함이 자기 여종 하갈에게서 낳은 아들과 같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은 이삭처럼 하나님의 모든 약속에 대해 자유롭게 태어난 상속자입니다(4:21-25).

 

-직설적 표현 및 명령-

5:1절은 직설적 표현 한 가지와 명령 한 가지를 지적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해방시켜 주신 것은 자유를 누리게 하시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굳게 서서, 다시는 종살이의 멍에를 메지 마십시오.” (NASB) “그리스도께서 참으로 우리를 자유케 하셨다”(NLT)라는 것이 바로 직설적 표현이며, 이 표현에 근거하여 “다시는 율법의 종노릇하지 말라”(NLT)라는 명령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 구절의 헬라어 본문을 참조하면, 그 의미상의 위력이 가슴에 와닿습니다. 이 구절은 헬라어로 ‘자유’, ‘당신’, ‘그리스도’, ‘자유롭게 하다’라는 네 단어로 시작됩니다. 첫 번째 명사와 마지막 동사(그리스어 문장에서 강조가 주어지는 두 위치)가 자유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구절의 부정과거 시제는 우리가 마침내 자유로워졌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스콧 맥나이트)

 

“자유는 공짜가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의 죽음으로 확보되었습니다. 문맥은 이 자유가 죄의 본성과 관련되어 있다기보다는 죄책감과 연관되어 있음을 알려줍니다. 그리스도께서 다른 무엇보다도 자유를 위하여 우리를 자유케 하셨으므로, 우리는 “굳게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에 얽매이지 않아야” 합니다(NKJV). 하나님을 전인적으로 사랑하고 이웃을 자신과 같이 사랑하면서 이 자유를 누리며 멋진 삶을 살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자유를 거스르는 활동들 속에 담긴 의미는 무엇일까요? 한 마디로 말하자면, 노예 시절로 돌아가고자 하는 활동일 것입니다. 광야의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 예입니다. 애굽의 속박에서 해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애굽으로의 귀환을 계속 시도했으며, 특히 삶에 어떤 어려움이나 장애물이 나타났을 때 더욱 그러했습니다. 그들은 자유를 번거롭고 부담스럽게 여겼습니다. “치킨 런”의 슬로건을 비틀어서 표현해 보자면, 그들은 “위험한 자유보다 평화로운 노예 상태를 선호합니다.” 성장과 성숙의 길은 그들에게 너무 고통스러웠습니다. 특히 자신들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당신의 순전한 자비와 은혜로 주신 자유로부터 계속 도피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에리히 프롬이 쓴 “자유로부터의 도피”(1941)의 핵심 아이디어입니다. 즉 ‘만일 우리가 자유에 내재된 책임을 질 수 없다면, 우리는 독재주의로 돌아가게 된다.’

 

그들은 영화 "쇼생크 탈출"(1994)에 나오는 죄수들의 판박이입니다. 그 영화는 앤디 듀프레인라는 인물을 소개해 주는데 그는 자기 아내와 그녀의 연인을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차분한 은행가입니다. 그는 희망을 붙듦으로써 감옥에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고, 마침내 감옥에서 탈출하는 데 성공하지요. 영화 속에 나오는 가슴 아픈 에피소드 중 하나는 교도소 사서로 일하면서 50년 동안 감옥에 갇혀 있던 브룩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자기의 뜻에 반하여 가석방된 그는 감옥에서 나와야 했습니다. 그러나 자기가 세상에 적응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된 후, 그는 보호관리인의 집에서 목을 매었습니다. 그 소식이 교도소에 도착했을 때, 베테랑 죄수인 레드가 다음과 같이 말하지요. “그런데 내 말 잘 들어봐. 이 벽이란 게 참 웃기는 거야. 처음에는 그것들을 다 싫어하지. 그러고 난 다음엔 그것들에 익숙해져. 이제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말이야, 그것들에 너무 의존하게 되지. 그게 제도화되어 버리는 거야.”  

 

교도소에 오랫동안 수감된 수감자들은 교도소 생활에 너무 익숙해져 감옥에서 나오기가 싫어진다는 것입니다. 이 영화는 광야에 있는 이스라엘인들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해 줍니다. 그들은 400년 이상 이집트에서 살았으며, 그 대부분의 기간을 이집트인의 노예 생활하며 보냈습니다. 그런데 그들이 무더위와 눈부심 속에서 갈증을 안고 끝없이 걸어가는 현실뿐 아니라 예상치 못한 적과 우연히 마주치게 되었을 때, 도대체 무슨 생각이 들었을까요? 아마도 그들은 최소한 평화로운 노예 제도가 보장된 이집트로 돌아가고 싶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그들이 광야에서 자라고 성숙하도록 훈련해야 했습니다. 다음 구절을 읽어보세요.

 

(레위기 26:13) “나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해 내어 그들에게 종된 것을 면하게 한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내가 너희의 멍에의 빗장을 부수고 너희를 바로 서서 걷게 하였느니라.”

 

반복적으로 그들은 ‘머리를 높이 치켜 들고 걷기’(NLT)로 표현되는 성장과 성숙을 위한 자유가 바로 출애굽의 목적이라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 광야에서 애굽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관성이 내재된 이스라엘 백성들을 대면해야 했던 하나님의 좌절의 깊이를 가늠할 수 있겠습니까?

 

이러한 상황은 할례를 통해 옛날 율법 시대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도 해당된다고 바울은 주장합니다. 할례 자체는 잘못된 것으로 정죄 받거나 옳다고 칭찬받을 수도 없는 중립적인 절차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동거가 결혼의 시발점인 것처럼, 행위로 의롭게 되어 구원을 받으려 하는 본격적인 율법주의의 서곡입니다. 그것은 더 진전된 신앙생활이 율법주의의 방향으로 펼쳐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됩니다. 우리에게 할례를 받으라고 하는 사람들은 계속해서 우리에게 모세의 율법을 지키라고 명령할 것이기 때문이지요. “바리새파 중에 어떤 믿는 사람들이 일어나 말하되 이방인에게 할례를 행하고 모세의 율법을 지키라 명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니라” (사도행전 15:5)

 

더욱이 본문 2절과 4절에 따르면, 이러한 율법주의적 행위가 참혹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습니다. 

 

(2절) “보라 나 바울은 너희에게 말하노니 너희가 만일 할례를 받으면 그리스도께서 너희에게 아무 유익이 없으리라

(4절) “율법 안에서 의롭다 함을 얻으려 하는 너희는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지고 은혜에서 떨어진 자로다.”

 

이 율법주의자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비참한 결과에 직면해야 합니다. (1) 그리스도로 인한 유익이 없음 (2)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짐 (3) 하나님의 은혜에서 떨어짐. 바울이 이런 종류의 율법주의를 비난하는 것도 당연합니다. 그들이 얼마나 비참한 상황에 처해 있는지요! 이 시점에서 여러분들에게 한 가지 묻겠습니다. 바울로 하여금 율법주의적 행위나 태도가 이러한 종류의 소름 끼치는 반향을 일으킬 것이라고 주장하게 만드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어지는 두 구절(5-6절)은 이러한 주장에 대한 두 가지 이유를 나타냅니다. 각 구절이 접속사 ‘For’(왜냐하면)로 시작하여 무엇인가에 대한 이유를 소개하기 때문입니다.

 

-의의 소망-

이러한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는 첫 번째 이유는 “우리가 성령으로 믿음을 따라 의의 소망을 기다리노니”(5절)라는 믿음에 의해 장래의 구원을 기다려야 할 필요성 때문입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의의 소망’이며, 이 소망은 우리의 행위나 성취의 열매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의 결과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것을 위해 일하기보다 믿음으로 그것을 기다리는 것입니다. 이 영광스러운 ‘소망’을 끝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성령의 감동하심을 받은 믿음이 필요합니다.

 

더욱이 우리 소망의 대상은 무죄 상태를 능가하는 ‘의’입니다. 그것은 의롭다고 법적으로 선언된 상태입니다. 원래 그 단어는 오래된 성경적 개념, 즉 “누군가와 올바른 관계를 맺고 자신의 언약적 책임을 완수하는 상태”(Karen Lee-Thorp)였습니다. 우리가 하나님과 이 언약 관계에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은 우리의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의 희생적인 죽음을 통해서였지요(히브리서 10:19-21).

 

(히브리서 10:19-21) “그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예수의 피를 힘입어 성소에 들어갈 담력을 얻었나니 그 길은 우리를 위하여 휘장 가운데로 열어 놓으신 새로운 살 길이요 휘장은 곧 그의 육체니라 또 하나님의 집 다스리는 큰 제사장이 계시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우리는 “참 마음과 온전한 믿음으로 하나님께 나아가고”, “또 약속하신 이는 미쁘시니 우리가 믿는 도리의 소망을 움직이지 말며 굳게 잡아야 합니다.”(10:22-23) 비록 지금 이 순간에 하나님의 임재를 직접 접할 수 있지만, 새 하늘과 새 땅 아래에서 부활한 몸으로 영원히 그와 함께 살 소망을 위해서는 인내하며 기다려야 합니다.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

그러한 심각한 상황에 대한 두 번째 이유는 행동하는 진정한 사랑에 대한 하나님의 궁극적인 관심입니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는 할례나 무할례나 효력이 없으되 사랑으로써 역사하는 믿음뿐이니라.”(6절)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믿음이 가장 중요하지만, “사랑으로 표현되는 믿음만이 중요합니다.” (NIV) 이 구절은 E. 드 윗 버튼이 1921년에 언급한 것처럼, 바울 신학의 전형으로 인정되었습니다. 즉 “종교의 본질에 대한 사도 바울의 근본적인 사상을 드러내는 데 있어서, 모든 서신서 혹은 참으로 바울의 서신서 어느 것에서라도 (이 구절보다) 더 중요한 문장은 없다.”라는 것입니다. 바울이 주장하는 믿음은 단순히 일련의 믿음에 대해 지적으로 동의하는 수동적인 수준이 아니라, 행동하는 사랑으로 이끄는 능동적인 수준입니다. 사랑으로 역사하는 이 믿음의 원리는 갈라디아서 5:13-26의 가르침을 위한 길을 터놓습니다.

 

저는 아직도 대학 1학년 때 철학과의 한 교수가 “철학개론” 수업을 듣던 우리 모두에게 “자유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 것을 기억합니다. 자신에게 정답을 말할 수 있는 사람에게는 추가 과제 및 시험과 관계없이 바로 그 자리에서 A 플러스 학점을 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사실상 그 수업 시간에 참여한 우리 모두에게 한 사람씩 물었습니다. 몇몇 반 친구들이 대답을 하려고 시도했지만, 그를 만족시킬 수는 없었습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자유란 무엇입니까?”라는 이 질문에 대한 여러분의 대답은 무엇입니까? 마침내 그는 칠판에 "必然의 認識"(필연의 인식)이라는 두 단어로 된 답을 써놓았습니다. ‘자유로운 삶을 살아라’(The Message), ‘자유롭게 지내라’(NLT), ‘지속적으로 굳건히 서라'(NASB)에 대한 우리의 논의와 관련하여 자유에 대한 이 정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필연의 정의가 ‘어떤 일이 반드시 일어나거나 존재해야 한다는 사실’(콜린스 사전)이라면, 우리 삶에서 반드시 일어나야 하는 일은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이어야 합니다. 이 사실을 깨달을 때 진정한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마치 기차가 올바른 철로 위에 놓여 있을 때 자유를 누리는 것처럼, 우리는 사랑으로 표현되는 믿음의 원칙을 붙잡을 때 자유로워집니다.

 

마지막으로 주목해야 할 점은 ‘모이는 습관’(히브리서 10:25, GNT)을 장려하는 것이 우리들 가운데서 확고하게 사랑과 선행을 격려하도록 해 준다는 점입니다.

 

(히브리서 10:24-25) “서로 돌아보아 사랑과 선행을 격려하며 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오직 권하여 그 날이 가까움을 볼수록 더욱 그리하자.”

 

이 구절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구원받은 자들에게 주어진 권면, 즉 하나님을 신뢰하고 소망을 붙잡으라는 권면이 바로 그 앞에 있기 때문에 새로운 중요성을 갖습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현재 우리 그리스도인의 삶 속에서 이 할례 의식 문제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라고 이해하십니까? 예컨대, 이 세상에는 과거의 잘못에 대한 강한 죄책감으로 인해 여전히 괴로워하는 그리스도인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의 유익을 누리려고 애쓰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들의 행동은 자기들의 신앙고백이 입에 발린 말에 불과함을 나타냅니다. 그들은 예수께서 진정으로 그들을 단번에 자유롭게 해 주셨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 결과 자기들이 다른 사람을 섬기는 데 자유를 얻었는데, 이것이야말로 바로 그들이 자기 생애를 통해 항상 하기 원하던 것이었지요.

 

-마무리-

예수 그리스도는 진정으로 우리를 자유롭게 하셨습니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역사적 부활만큼 명백한, 논쟁의 여지가 없는 영적 실재입니다. 속죄를 위한 당신의 죽음은 우리를 율법의 저주에서 구속했습니다(2:4, 3:13, 5:1). 우리는 하나님 아버지 존전에서 당신의 ‘자유로운 자녀’입니다(4:21-31). 이제 우리는 성령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고린도후서 3:17, 로마서 8:2). 참된 그리스도인의 경험은 확고한 소망에 대한 믿음으로 특징지어집니다. 즉 그것은 하나님께서 마침내 당신의 진리를 입증하실 때, ‘무죄’하고 의롭다는 하나님의 최종 판결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지요. 한편으로 이 믿음은 성령의 임재에 의해 생성되고 지속됩니다. 다른 한편으로, 이 믿음은 행동하는 사랑의 사역을 통해 매우 구체화됩니다. 한마디로, 진정한 자유란 하나님의 자녀로서 성령을 통해 의에 대한 확고한 소망의 믿음을 품고 하나님과 타인을 실천적으로 사랑해 가는 것입니다.

 

들어가는 말에서 저는 조르바가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묘비명에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 묘비명에서 그가 의미하는 자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나는 아무 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다.” “그리스인 조르바”(1946)에게 자유란 국가, 종교, 부, 관습 및 도덕으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하며, 그 점을 다음과 같은 언급에서 알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난 해방됐소.” 그가 말했다. “아저씨의 조국으로부터 해방됐다는 말인가요?” “그렇소, 내 조국으로부터 해방됐소.” 조르바는 단호하지만 담담한 목소리로 대답했다. 조금 뒤 그가 다시 말을 이었다. “내 조국으로부터, 신부들로부터, 그리고 돈으로부터 해방되었소이다. 이제 체로 치는 행위는 더 이상 하지 않아. 사물을 체로 치는 행위는 이제 손 뗐소. 모든 일을 단순하게 생각하려 하오. 당신에게 이걸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난 지금 나 자신을 해방시키고, 한 인간으로 거듭 태어나는 중이오.”

 

이 진술이 아무리 자유로워 보인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카잔차키스의 삶과 작품이 나타내는 자유의 모든 측면을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위대한 성자 프란체스코”(1953)가 그 예입니다. 그것은 “그리스인 조르바”(1946)의 자유와는 다른 종류의 자유를 지적합니다. 즉 다음 고백에서 알 수 있듯이 육신의 정욕과 세속적 명예와 같은 자신의 욕망으로부터의 자유인 것입니다.

 

■”이 얼마나 행복합니까?” 그는 입버릇처럼 되풀이했다. “아무런 고집도 피우지 않고 ‘나’라는 소리는 입 밖에도 내지 않고 살아가니 이 얼마나 즐거워요! 내가 누구라는 것도 잊고 하느님의 바람결에 따라 아무렇게나 나를 맡겨두는 것이 얼마나 신명나는 일인가요! 그것이야말로 진실한 자유가 아니던가요! 레오 형제, 어떤 사람이 자유로운 사람이냐고 누군가 질문하면 당신은 뭐라고 답하겠소. 그 사람은 바로 하느님의 종이라오! 그 밖의 자유는 사실, 속박이라오.”  

 

사실 카잔차키스는 베르그송에게서 철학을 배우고 니체와 유대를 쌓은 다음 니체를 버리고 불교에 입문한 후 불교에서 레닌으로, 나중에는 레닌에서 오디세우스로 영적 여정을 계속했습니다. 마침내 그는 그리스도께 되돌아왔습니다. 카잔차키스의 여러 작품을 번역한 피터 빈은 이렇게 지적합니다. “그가 결국 그리스도께로 되돌아왔을 때, 그것은 과거의 모든 과정이 풍요롭게 결실을 맺은 그리스도에게로의 귀착이었다.” 따라서 그 책만으로 카잔차키스를 조르바와 동일시하는 것은 성급한 결론입니다. 오히려 그가 마침내 다음과 같은 진리를 발견했다고 말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입니다. “진정한 자유는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면서 책임감 있게 살기 위해서, 어리석은 작은 자아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것입니다.” (존 스토트)

 

-적용 질문-

(1) 그대가 그리스도 안에서 자유하지 못하게 막는 것은 무엇입니까?

(2) 구원받는 믿음이란 무엇을 말합니까?

(3) 행위로 인한 구원과 선한 행위를 위한 구원을 어떻게 구별합니까?

(4) ‘모이는 습관’을 포기하지 않고 어떻게 고취할 수 있습니까?

 

기도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