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배우고 글 쓰고 나누는 제 마음에 사랑이 흘러넘치게 하소서
English Essays

24. Victory through the Cross (십자가를 통한 승리)

by 이승천(Lee Seung Chun) 2022. 4. 23.

Victory through the Cross

(Revelation 12:1-12)

 

-Introduction-

Good afternoon, Brothers and Sisters! I am wondering how often you read the book of Revelation. Do you read Revelation as often as the other books of the Bible? Probably you don’t. Have you ever thought of the reason for that? Refer to Carl Mosser, an American theologian, who once said, “Revelation is the most misunderstood, abused and maligned book of the Bible. It is also a book of singular importance when properly understood.” It has not been misunderstood the most only, but exploited and disparaged by many believers and unbelievers alike. However, the starting point of neglecting Revelation i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book. If it is appropriately understood, it becomes an extraordinary book which takes on great importance.    

 

What is then Revelation regarding? To being with, Carl Mosser introduces us to some basic information of the genre of Revelation, which he believes is the source of misunderstanding of it.  

 

(1) Revelation, not revelations: The first three words of Revelation’s Greek text are “apokalupsis Iesou Christou”, i.e. an apocalypse or revelation [singular] of Jesus Christ. Many people erroneously refer to Revelation as ‘the Book of Revelations’ [plural]. This misunderstanding is based on the wrong assumption that it includes a series of esoteric revelations about end-time events. 

 

(2) Revelation the letter: Given a brief prologue (1:1-3) and the formal beginning (1:4-6), it is a typical letter written by John [author] for the seven churches [recipients] in the first century Roman province of Asia (1:4, 11; 22:16). This section is followed by a wish of grace of peace (1:5), which is echoed at the end of this book (22:21), a common feature of early Christian letters. The church members were encouraged to read or listen attentively to the letter, in order to obey it, because the time was near (1:3). Notwithstanding, many people try to divorce chapters 1 - 3 from chapters 4 - 22, as if only the 3 chapters had been intended for the seven churches.

 

(3) Revelation the apocalypse: In an apocalypse, a supernatural agent mediates secrets of the unseen world to a human recipient through symbolic visions. These revelatory visions are neither encoded instructions nor encoded descriptions of event, but communicates something about transcendent reality which cannot be expressed in straightforward prose. Their main goal is to provide the original addressees with insight into their own situation and to inspire confidence in God’s promise.   

 

(4) Revelation the prophecy: The primary purpose of Revelation was not predicting the future, but rebuking the sinful compromises of God’s people (e.g. 2:4-5, 14-16, 20-25; 3:1-3, 15-18) and criticizing a corrupt society’s rampant injustice and immorality (see esp. 17:1-4; 18:2-24; 21:8, 27). It calls God’s people to respond in repentant obedience (cf. 22:7).

 

Next, how can we interpret the content of Revelation? There have been a few basic pointers used to interpret the message of Revelation by many readers throughout the ages.

 

(1) Note what it meant to the original readers: It means that we have to see the letter in the light of contemporary history, taking note that it was delivered to the seven churches in Asia Minor. Since John was told “not seal up the words of the prophecy of this book” owing to the nearness of its fulfilment (22:10), the symbolism and imagery of Revelation would have been meaningful to the seven churches.  

 

(2) Its symbols are to be understood, not meticulously visualized: The symbols of Revelation are so intentionally evocative and suggestive that they are not always match with literal events. Moreover, John does not get overly concerned about harmonizing details of visions, not least because the main thrust of each vision is important, which is true of the case of parables. We have to look first at the whole picture and try to discover the main idea. Take 7:14 for instance. “These are the ones who come out of the great tribulation, and they have washed their robes and made them white in the blood of the Lamb.” If we were to attempt to visualize this situation, the result would often be grotesque. John Stott interprets this verse like this: “the only righteousness which qualifies us to stand in God’s presence is due to the atoning death of Jesus Christ, in whom we have put our trust.” 

 

(3) It is rooted in the Old Testament & clear passages: Since Revelation is filled with the terminology and symbols of the Old Testament, we have to compare scripture with scripture. For instance, the mysterious expression, “a time and times and half a time” (v. 14) is also found in Daniel 7:25 and 12:7. The drama enfolded in this passage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the prophecy of Genesis 3:15. Moreover, ambiguous passages must always be understood in the light of clear passages, never the other way round. Even though Jesus Christ gave a clear message to the question of disciples regarding the end-time, “what will be the sign of Your coming, and of the end of the age?” (Matthew 24:3), there have been many false prophets throughout the ages who used the obscure symbols of Revelation as a springboard from which to plunge in their own waters of grotesque interpretation. Jesus Christ went on record as saying “But of that day and hour no one knows, not even the angels of heaven, nor the Son, but the Father alone.” (Matthew 24:36) Notwithstanding, Hal Lindsey, the author of “The Late Great Planet Earth” (1970), willfully erred horrendously in predicting that Jesus Christ will come again in the year 1980. He was not the first, nor will be the last, to try to do so. Before him was Martin Luther who had made the same mistake three times, and after him was Lee Jang Rim who misled dozens of thousand Koreans by claiming that the end of the world would occur on October 28, 1992.

 

(4) It focuses on Jesus Christ: It is primarily a revelation of the greatness and glory of Jesus Christ who already ‘has conquered’ (5:5; 12:9–10). His people are asked to share His victory over evil and glorious reign over the world which enable them to lift up their hearts, and throw a fresh light on their own tough situations. This message is intended to give hope and encouragement to the beleaguered and persecuted churches facing up against myriad tribulations.

 

-Context-

(Marshall, Travis, & Paul, 2011)

This overview of the structure of Revelation reminds me of the word, ‘superimpose’, which means putting something on top of another thing so that you can see the second image through it. The events in the heaven are superimposed on those on earth. Even though John sees the visions consecutively, the realities they symbolize do not happen consecutively.

 

-Chapter 12-

One commentary regards 12:1-14:20 as “a lengthy parenthesis”, because it intervenes between the story of seven trumpets and the one of seven bowls which will complete the birth of the kingdom of God. This section lies at the heart of the book, in terms of both position and significance, revealing the nature of conflict which will come to the end at the appearance of Jesus Christ. The age-old struggle between God & His people and devil & his angels is superimposed on the contemporary conflict of the Christians against the Roman emperor and his earthly system. Specifically, chapter 12 deals with the decisive overthrow of the devil, introducing 3 visions: (1) The vision of the woman, the child and the dragon (vv. 1–6) (2) The vision of two armies locked in battle (vv. 7–12) (3) The vision of the dragon’s continuing hostility to the woman (vv. 13–17).

 

The first vision features 3 chief actors: (1) A pregnant woman (vv. 1-2) (2) A red dragon (vv. 3-4) (3) A male child (v. 5). A pregnant woman who enters labour does not refer to an individual at all, but to a corporate figure who stands for the people of Israel or the Old Testament people of God (vv. 1-2). The sun and moon and twelve stars are almost overlapped with the case of Joseph’s dream (Genesis 37:9). The identity of the red dragon has a clear-cut clue in verse 9 (“the serpent of old who is called the devil and Satan”). There is no doubt of the identity of a male child whom the woman gave birth to, for his job is “to rule all the nations with a rod of iron” (v. 5=Psalm 2:9) He is the King of kings or the Messiah. This vision is “a marvellous condensation of the gospel story from the Messiah’s birth in fulfilment of the Old Testament to his resurrection and ascension, and on to the time of the persecution and protection of the church.” (John Stott) It also depicts the age-long hostility between the serpent and the woman (Gen. 3:15). “And I will put enmity Between you and the woman, And between your seed and her seed; He shall bruise you on the head, And you shall bruise him on the heel.”

 

The second vision does not describe a follow-up events after those of the first, but is superimposed on it as its heavenly counterpart. It is noteworthy that the battle here was not between God and Satan but between Michael, an archangel, and Satan. After losing the battle, Satan and his angels were driven out of heaven and thrown down to the earth to deceive the whole world. The third vision depicts the dragon who now turned his attention to the woman (i.e. the New Testament people of God), but he failed again to destroy her, not least because God used the earth as an instrument to keep her safe.

 

Satan has been a defeated foe. He was soundly crushed three times in this passage: (1) In his resolve to devour the Christ-child (2) In his engagement in spiritual warfare with Michael in heaven (3) In his attempts to destroy the woman. We know that it was at the cross that Christ decisively vanquished the devil, and by the resurrection that his victory was vindicated (cf. Colossians 2:13-15).

 

“He made you alive together with Him, having forgiven us all our transgressions, having canceled out the certificate of debt consisting of decrees against us, which was hostile to us; and He has taken it out of the way, having nailed it to the cross. When He had disarmed the rulers and authorities, He made a public display of them, having triumphed over them through Him [the cross].”

 

Christ’s great conquest is now celebrated in song (vv. 10–12). ‘Salvation’, ‘power’, ‘the kingdom of our God’, and ‘the authority of his Christ’ have now ‘come’, and so become available to us, not least because Satan the accuser has been vanquished. He is both the deceiver of the whole world (v. 9), and the accuser of the church (v. 10). But since Christ has died for our sins, there is no condemnation for those who are in Him (Romans 8:1, 33). Although Christ’s victory was achieved once for all on the cross, God’s people have been given a way to get access to it themselves. “They overcame him because of the blood of the Lamb and because of the word of their testimony” (v. 11a), and by their readiness to endure to the end, without shrinking even from death.

 

-Martyrdom vs. Betrayal-

In the 1950s Shusaku Endo, a Japanese young writer, visited a museum in Nagasaki to begin research on his next novel. He was attracted to one particular glass case which exhibited a fumie (i.e. a bronze portrait of Jesus or Mary mounted on a wooden frame) dated from the 17th century. It showed poignant evidence of many Japanese Christians who had betrayed their faith in Jesus Christ by stepping on it. The fumie gripped Endo, and he asked himself these questions: “Would I have stepped on it? What did those people feel as they apostatized? Who were they?” This haunting experience resulted in “Silence” (1966) which tells the story of the Catholic apostates of the 17th century in Japan.

 

One of the most impressive scenes in this novel is the confession of Kichijirō who continuously betrayed his faith in the Lord, but tried to seek the forgiveness for his apostasy.

 

“‘Father, father!’ Seeing that the priest had come to the prison, Kichijirō was again pleading in the darkness. ‘Let me confess my sins and repent!’ (…) ‘Listen to me, father,’ Kichijirō whimpered in a voice that the other Christians could hear. ‘I am an apostate; but if I had died ten years ago I might have gone to paradise as a good Christian, not despised as an apostate. Merely because I live in a time of persecution. … I am sorry.’”

 

Probably many of you think that this case is miles away from the one of your faith. I would never step on that kind of fumie at the expense of my life, even if I were forced to do so. Are their cases really so unusual? Let me quote one paragraph from Philip Yancey’s article.

 

“The entire Bible can be seen, in fact, as a story of betrayal, beginning with Adam and proceeding through the history of the Israelites, culminating in the cross. (…) Every one of Jesus’ followers, from the first disciples down through history to the present day, knows the feeling of betrayal. Sharp-edged gossip, the stab of envy, that colleague we humiliated, the racist comment that drew a laugh, a sudden and inexplicable cruelty, apologies to our children deserved but never made, a furtive fantasy, a stolen kiss, callousness toward another’s misery, an addiction to what demeans or even destroys—in ways small and large we too step on the fumie. Our only hope is the forgiving gaze of the betrayed Savior, the still point of Endo’s novel.”

 

Do you still think that the betrayals of Japanese Christians are so exceptional that you would never follow suit? The thing is, all of us have committed betrayals ‘in ways small and large’, according to Yancey. However, we should not stop at the point of stepping on the fumie. We have to repent our sins and get restored to the relationship with God and start over with a clean slate. And ‘endure to the end’ (Matthews 24:13) while abiding in the Lord. Remain firm in the faith under the pressure and threat of the world. If God’s silence to our wailing cry troubles our spirit to the point of distraction, remind ourselves of the example of our Lord Jesus who committed His own spirit to God the Father in the silence of the cross. And remember that we are fighting against the defeated foe, Satan or Devil or Old Serpent, when he escalates the war in the final days of his fury.

 

-Application Questions-

(1) How have I misunderstood the message of Revelation? Have I found the useful correctives to the mistaken view of Revelation?

(2) How can the blood of the Lamb and our testimony defeat the Satan?

(3) For whom is salvation fully certain? Who will be saved at last?

(4) In what ways have I stepped on the fumie? How can I transcend the feeling of betrayal to make way for victorious Christian living?

 

Let's pray. 

 

(번역)

십자가를 통한 승리

(계시록 12:1-12)

 

-소개-

안녕하세요, 형제 자매 여러분! 요한계시록을 얼마나 자주 읽으시는지 궁금합니다. 성경의 다른 책들처럼 요한계시록을 자주 읽으십니까? 아마 그렇지 않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 미국의 신학자 칼 모서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요한계시록은 성경 중에서 가장 오해되고, 오용되며, 헐뜯음을 많이 받은 책이다. 제대로 이해된다면 매우 중요한 책이기도 하다.” 그 책은 가장 많이 오해되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신자와 불신자들에게 착취와 멸시를 받았습니다. 그렇지만, 계시록을 무시하는 출발점은 계시록에 대한 이해 부족입니다. 적절하게 이해된다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 비범한 책이 됩니다.    

 

그렇다면 계시록은 무엇에 관한 책입니까? 우선, 칼 모서가 요한계시록의 장르에 대해 소개한 몇 가지 기본 정보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그는 바로 이 점이 요한계시록에 대한 오해의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1) 계시록은 복수가 아니라 단수다: 헬라어 요한계시록 본문의 처음 세 단어는 “아포칼룹시스 예소우 크리스토우”, 즉 ‘예수 그리스도의 묵시 또는 계시’[단수]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계시록을 ‘계시록들’[복수형]로 잘못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런 오해는 이 책 속에 종말의 사건에 대한 일련의 비교(秘敎)적인 계시가 포함되어 있다는 잘못된 가정에 근거합니다.

(2) 계시록은 서신이다: 간략한 서언(1:1-3)와 형식적 서두(1:4-6)를 감안해 볼 때, 이 책은 저자인 요한이 1세기 로마의 속주인 소아시아에 위치한 일곱 교회를 수신자로 정하고 쓴 전형적인 편지입니다(1:4, 11; 22:16). 이 부분 뒤에는 평화를 비는 소원(1:5)이 나오는데, 이것은 이 책의 말미(22:21)에도 나타나는 것으로서, 이런 측면은 초기 기독교 서신의 공통된 특징입니다. 때가 가까웠기 때문에, 성도들은 하나님께 순종하기 위해 그 편지를 읽거나 주의 깊게 들으라는 권면을 받았습니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마치 1-3장만이 일곱 교회를 위해 의도된 것처럼, 1-3장을 4-22장과 분리하려고 합니다.  

(3) 계시록은 묵시록이다: 묵시록에서는 초자연적 존재가 상징적 환상을 통해 보이지 않는 세계의 비밀을 인간 수신자에게 중재해 줍니다. 이러한 계시적 환상은 어떤 사건에 대한 암호화된 지시나 암호화된 설명이 아니라, 직접적인 산문으로 표현할 수 없는 초월적 현실에 대한 무엇인가를 전달합니다. 그것들의 주요 목표는 원래 수신인들에게 자신들의 상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확신을 불러일으키는 것입니다. 

(4) 계시록은 예언이다: 계시록의 일차적 목적은 미래를 예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의 죄악된 타협적 삶을 책망하는 것이었고(예컨대, 2:4-5, 14-16, 20-25, 3:1-3, 15- 18), 부패한 사회의 만연한 불의와 부도덕을 비판하는 것이었습니다(17:1-4; 18:2-24; 21:8, 27 참조). 그리하여 계시록은 하나님의 백성을 회개하는 순종으로 응답하도록 부릅니다(22:7 참조).

 

다음으로, 계시록의 내용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여러 시대에 걸쳐 많은 독자들이 계시록의 메시지를 해석하는 데 사용한 몇 가지 기본 지침들이 있습니다.

 

(1) 책이 원서 독자들에게 어떤 의미였는가를 주목하라: 이 책이 소아시아 일곱 교회에 전달되었다는 점을 주목하면서, 당대의 역사에 비추어 보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요한은 이 책의 성취가 가까웠기 때문에 “이 책의 예언의 말씀을 인봉하지 말라”라는 말씀을 들었으므로(22:10), 계시록의 상징과 이미지들은 일곱 교회에 의미가 있었을 것입니다.

 

(2) 속의 상징들은 세심하게 시각화하지 말고 이해해야 한다: 계시록의 상징들은 의도적으로 너무 여러 가지를 연상시키고 암시적이어서 문자 그대로의 사건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더욱이 요한은 환상의 세부 사항을 조화시키는 데 지나치게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특히 비유의 경우처럼 각 환상의 취지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먼저 전체 그림을 보고, 주요 아이디어를 찾으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7:14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이는 큰 환난에서 나오는 자들인데 어린 양의 피에 옷을 씻어 희게 하였느니라” 이 상황을 시각화하려고 시도하면 그 결과는 기괴할 것입니다. 존 스토트는 이 구절을 이렇게 해석합니다. “우리들이 하나님의 존전에 설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해주는 유일한 의는 우리가 신뢰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의 죽음 때문이다.”

 

(3) 책은 구약성경과 명료한 본문에 뿌리를 두고 있다: 계시록은 구약의 용어와 상징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성경과 성경을 비교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한 때와 두 때와 반 때”(14절)라는 신비한 표현은 다니엘 7:25과 12:7에도 나옵니다. 이 본문에서 펼쳐지는 드라마는 창세기 3:15의 예언 없이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 더욱이, 모호한 구절은 항상 명확한 구절에 비추어 이해되어야 하며, 결코 그 반대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제자들에게 마지막 때에 대한 질문, 즉 “주의 임하심과 세상 끝에는 무슨 징조가 있사오리이까”(마태복음 24:3)라는 질문에 대해 분명한 메시지를 전해 주셨지만, 계시록의 모호한 상징들을 자기들의 기괴한 방식으로 해석하는 장에 뛰어들기 위한 발판으로 사용한 거짓 선지자들이 여러 시대에 걸쳐 많이 존재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공적으로 “그러나 그 날과 그 때는 아무도 모르나니 하늘의 천사들도, 아들도 모르고 오직 아버지만 아시느니라”라고 표명하셨습니다(마태복음 24:36).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유성 지구의 종말”(1970)의 저자인 핼 린지는 고의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1980년에 다시 오실 것이라고 예언하는 끔찍한 잘못을 저질렀습니다. 그런 시도를 한 게 그가 처음이 아니었고, 마직도 아닐 것입니다. 그 이전에는 같은 실수를 세 번이라 저지른 마르틴 루터가 있었고, 그 이후에는 1992년 10월 28일에 세상의 종말이 올 것이라고 주장하여 수십만 명이나 되는 한국인을 오도한 이장림이 있었습니다.  

 

(4) 책은 예수 그리스도에 초점을 맞춘다: 계시록은 일차적으로 이미 ‘정복하신’(5:5, 12:9-10) 예수 그리스도의 위대함과 영광을 계시한 책입니다. 당신의 백성들은 악에 대한 당신의 승리와 세상에 대한 영광스러운 통치에 참여하도록 요청받습니다. 이러한 사실들로 인하여 자기들의 마음을 고양하고 자기들이 처한 어려운 상황에 대해 신선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메시지는 수많은 환난에 직면해 있는, 핍박받고 박해받는 교회들에게 희망과 격려를 주기 위한 것입니다.

 

-컨텍스트-

<계시록의 구조>

요한계시록의 구조에 대한 이러한 개요는 '겹쳐 놓는다'라는 단어를 생각나게 합니다. 그것은 다른 것 위에 무엇을 올려놓아 그것을 통해 두 번째 이미지를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늘의 사건이 땅의 사건에 겹쳐집니다. 요한은 환상들을 연속적으로 보았지만, 그것들이 상징하는 현실은 연속적으로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12-

한 주석은 12:1-14:20을 "긴 괄호"로 간주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일곱 나팔 이야기와 하나님 나라의 탄생을 완성할 일곱 대접 사이에 끼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과 함께 끝날 갈등의 성격을 드러내는 것으로서, 그 위치와 의의를 고려해 볼 때 이 책의 핵심입니다. 하나님과 당신의 백성, 악마와 그의 천사들 사이에 전개된 오랜 투쟁이 로마 황제와 그의 지상 체제에 대항하는 기독교인들이 겪은 당대의 시대적 갈등에 겹쳐서 놓여 있습니다. 특히 12장은 악마의 결정적인 전복을 다루면서, 3가지 환상을 소개합니다. 즉 (1) 여자, 아이 및 용의 환상(1-6절) (2) 전투 중인 두 군대의 환상(7-12절) (3) 여자에게 계속 적대적인 용의 환상(13-17)

 

첫 번째 환상에는 세 명의 주연 배우가 나옵니다. (1) 임신한 여자(1-2절) (2) 붉은 용(3-4절) (3) 남자 아이(5절). 분만에 들어간 임산부는 개인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이나 구약의 하나님의 백성을 대표하는 단체적인 인물을 가리킵니다(1-2절). 해와 달과 열두 별은 요셉의 꿈의 경우와 거의 겹칩니다(창세기 37:9). 붉은 용의 정체는 9절(“옛 뱀 곧 마귀라고도 하고 사단이라고도 하는 뱀”)에 분명한 단서가 있습니다. 여자가 낳은 남자 아이의 정체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의 사역은 "철장으로 만국을 다스리는 것"(5절=시편 2:9)이기 때문입니다. 그는 만왕의 왕 혹은 메시야이십니다. 이 환상은 “구약이 성취된 메시아의 탄생부터 당신의 부활과 승천, 그리고 교회가 핍박받고 보호받는 기간을 포괄하는 복음 이야기를 탁월하게 요약한 것”입니다(존 스토트). 또한 뱀과 여자 사이의 오랜 적대감을 묘사하기도 합니다(창세기 3:15).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네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

 

두 번째 환상은 첫 번째 환상 이후의 후속 사건을 기술하지 않고, 그것에 상응하여 하늘에서 전개되는 사건으로서 그것 위에 겹쳐서 놓여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하나님과 사탄의 싸움이 아니라 천사장 미가엘과 사탄의 싸움이었다는 점입니다. 전쟁에서 지고 난 후, 사탄과 그의 천사들은 하늘에서 쫓겨나 땅으로 내던짐 당하여 온 세상을 미혹하게 되었습니다. 세 번째 환상은 이제 그 여자(즉, 신약의 하나님의 백성)에게 관심을 돌린 용을 묘사하고 있지만, 특별하게 하나님께서 그녀를 보호하기 위한 도구로 땅을 사용하신 연유로 그는 그녀를 멸망시키는 데 또다시 실패했습니다.

 

사탄은 패배한 적입니다. 그는 이 본문에서 세 번씩이나 심하게 짓밟혔습니다. 즉 (1) 어린아이이신 그리스도를 삼키려고 했을 때 (2) 하늘에서 미가엘과 영적 전투를 감행했을 때 (3) 여자를 멸망시키려는 시도에서였지요.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마귀를 결정적으로 물리치신 것은 십자가에서 이루어졌고, 그의 승리가 입증된 것은 부활을 통해서였음을 압니다(골로새서 2:13-15 참조).

 

“또 범죄와 육체의 무할례로 죽었던 너희를 하나님이 그와 함께 살리시고 우리의 모든 죄를 사하시고 우리를 거스르고 불리하게 하는 법조문으로 쓴 증서를 지우시고 제하여 버리사 십자가에 박으시고 통치자들과 권세들을 무력화하여 드러내어 구경거리로 삼으시고 십자가로 그들을 이기셨느니라.”

 

그리스도의 위대한 정복은 이제 노래로 찬양됩니다(10-12절). ‘구원’, ‘권능’, ‘우리 하나님의 나라’, ‘그의 그리스도의 권세’가 이제 ’도래했고’ 우리가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참소하는 자 사단이 패배했기 때문입니다. 그는 온 세상을 미혹하는 자(9절)이자 교회를 참소하는 자(10절)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이제 당신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습니다(로마서 8:1, 33). 그리스도의 승리는 십자가에서 단번에 이루어졌지만, 이제 하나님의 백성들이 그것을 스스로 누릴 수 있는 길이 주어졌습니다. 즉 “그들이 어린 양의 피와 자기들이 증거하는 말씀을 인하여”(11절 상), 그리고 죽음에서도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견디려는 마음으로 사탄을 이겼던 것입니다.

 

-순교 배신-

1950년대에 일본의 젊은 작가 엔도 슈사쿠는 차기작 연구를 위해 나가사키에 있는 박물관 한 곳을 찾았습니다. 그는 17세기에서 유래된 푸미에(즉 예수님 혹은 마리아가 조각된 청동 초상화)를 전시하고 있는 어떤 특정한 유리 케이스에 매료되었습니다.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배반한 많은 일본 기독교인들의 뼈아픈 증거를 보여주었습니다. 그 푸미에가 자기를 사로잡은 상태에서, 엔도는 자기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습니다. “나라면 그것을 밟았을까? 그 사람들은 배도하면서 무엇을 느꼈을까? 그들은 누구인가?” 이 잊을 수 없는 경험에서 17세기 일본에서 배교한 가톨릭 신자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침묵”(1966)이 탄생했습니다.

 

이 소설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는, 거듭해서 주님께 대한 믿음을 배반하지만 자신의 배교에 대한 용서를 구하려 했던 키치지로의 고백입니다.

 

“’신부님, 신부님!’ 신부가 감옥에 온 것을 보고 키치지로는 다시 어둠 속에서 애원했다. ‘내 죄를 자백하고 회개하게 해 주세요!’ (...) ‘신부님, 제 말을 들어 주십시오.’ 키치지로는 다른 기독교인들도 들을 수 있는 목소리로 속삭였다. ‘나는 배교자입니다. 그러나 내가 10년 전에 죽었다면, 나는 배교자로 멸시받지 않고 훌륭한 그리스도인으로서 낙원에 갔을 것입니다. 단지 제가 핍박의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 죄송합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이 사건은 자신이 품고 있는 믿음의 상태와는 아주 거리가 멀다고 생각하실 것입니다. 그런 종류의 푸미에를 밟도록 강제하는 상황이 전개되더라도, 난 목숨을 걸고서라도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자부하면서요. 그들의 경우가 정말 너무 이례적인가요? 필립 얀시의 글에서 한 단락을 인용하겠습니다.

 

“성경 전체는 사실상 아담부터 시작하여 이스라엘의 역사를 거쳐 십자가에 이르기까지 전개되는 배반의 이야기로 볼 수 있다. (…) 최초의 제자들부터 역사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예수님을 따르는 모든 사람은 배신감을 알고 있다. 날이 선 뒷담화, 시기해서 내뱉는 험담, 우리가 모욕감을 준 동료, 웃음을 자아낸 인종차별적 발언, 갑작스럽고 설명할 수 없는 잔인함, 우리 아이들에게 해야 마땅하지만 결코 하지 않은 사과, 은밀한 환상, 도둑맞은 입맞춤, 타인의 불행에 대한 냉담, 품위를 떨어뜨리거나 심지어 파괴하는 것에 대한 중독. 이런 식으로 작고 큰 방식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우리도 푸미에를 밟는다. 우리의 유일한 희망은 배신당한 구세주의 관용의 시선이라는 게 엔도 소설이 잠잠히 전하는 요점이다.”  

 

아직도 일본 기독교인들의 배신이 너무 이례적이어서 여러분은 결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얀시에 따르면, 문제는 우리 모두가 ‘작든 크든’ 배신을 저질렀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푸미에를 밟는 지점에서 멈추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의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깨끗한 상태로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그리고 주님 안에 거하면서 ‘끝까지 견뎌야 합니다.’ (마태복음 24:13) 세상의 압박과 위협 속에서도 믿음 안에 굳건히 서야 합니다. 만일 우리가 통곡하는 부르짖음에 대한 하나님의 침묵이 우리의 영혼을 산란하게 한다면, 십자가의 침묵 속에서 아버지 하나님께 당신의 영혼을 맡기신 우리 주 예수님의 모범을 기억합시다. 그리고 우리의 대적이 자기의 분노의 마지막 날에 전쟁을 확대할 때, 우리는 패배한 적인 사탄이나 악마 또는 옛 뱀과 싸우고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적용 질문-

(1) 계시록의 말씀을 내가 어떻게 오해하였는가? 계시록에 대한 잘못된 견해에 대해 유용한 교정책을 찾았는가?

(2) 어린양의 피와 우리의 증거가 어떻게 사탄을 이길 수 있는가?

(3) 누구에게 구원이 확실한가? 마지막에 누가 구원을 받을 것인가?

(4) 나는 어떤 방식으로 푸미에를 밟았는가? 배신감을 초월하여 승리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 어떻게 할 수 있는가?

 

기도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