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배우고 글 쓰고 나누는 제 마음에 사랑이 흘러넘치게 하소서
학(學)-평생에 걸쳐 학습하라

13. Love Your Neighbor (이웃 사랑하기)

by 이승천(Lee Seung Chun) 2022. 1. 30.

Love Your Neighbor

(Luke 10:25-37)

 

Good afternoon, brothers and sisters! You must be familiar with the expression of “good Samaritan”. Its meaning goes like these: ‘a person who pities and helps another or others unselfishly’; ‘a person who gratuitously gives help or sympathy to those in distress’; ‘a person going out of his way to do a kindness to others’. These definitions point out two aspects. First, a good Samaritan participates in doing some kind, selfless, or generous thing to the person in extreme need. Secondly, a good Samaritan does so out of his/her pity, sympathy, or compassion. In a word, a good Samaritan is a person who engages in love in action. When I come across this definition, I am wondering what that kind of active love or compassionate actions originates from. I hope that this question can be settled down by meditating on the original Samaritan in the Bible, the main character of today’s passage.

 

-Structure of Two Dialogues-

This passage indicates that Jesus is excellent as a teacher in that He does not answer the lawyer's questions, but puts his own question to him in order to allow him to answer his own inquiries. In the process he is challenged to reflect on his own spiritual defect and convert his own heart. Take a look at the structures of the two dialogues between the lawyer and Jesus suggested by Kenneth E. Bailey: 

 

<First dialogue, 10:25-28>

<Second dialogue, 10:29-30, 36-37>

-Meaning of Neighbor: 3 Options & Beyond-

In the first dialogue, the lawyer looks foolish, not least because he is made to answer his own question and then told to carry out his answer. In this embarrassing situation, he asks Jesus an impulsive question, “Who is my neighbor?”, in order to save face and justify himself. However, this question, “Who is my neighbor?”, is deeply telling. It reveals that he obviously is making distinction between different groups of people and considering who is worthy of the category of his neighbor. Probably he is weighing “the sons of your people” (Leviticus 19:18) and “the stranger who resides with you” (19:34) on a set of scales.

 

(Leviticus 19:17-18) “You shall not hate your fellow countryman in your heart; you may surely reprove your neighbor, but shall not incur sin because of him. You shall not take vengeance, nor bear any grudge against the sons of your people, but you shall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I am the LORD.”

(Leviticus 19:34) “The stranger who resides with you shall be to you as the native among you, and you shall love him as yourself, for you were aliens in the land of Egypt; I am the LORD your God.”

 

However, Jesus proposes a radical option which is not in the very text and beyond these two options, by telling him the Good Samaritan story. In effect, He refers to a Samaritan as the third option of neighbor, i.e. ‘the stranger who does not reside with you.’ That is not the end of the story. Taking a further step, Jesus turns the tables on the lawyer. Jesus goes so far as to say that the hated Samaritan saves 'you', a Jew, not vice versa. Most probably both the victim and robbers are Jews, and the two passers-by (i.e. a priest and a Levite) are also Jews. A Jew is attacked by some secular Jews, and ignored by other religious Jews. But a hated Samaritan saves the Jew by paying a considerable cost and risking his safety. At the end of this story, Jesus does not ask the lawyer who he regards as his neighbor now, but asks who ‘proved to be the neighbor to’ the robbed Jew (v. 36). He cannot but answer, “The one who showed mercy toward him” (v. 37), acknowledging the extraordinarily merciful feat of the Samaritan. I can sense the shock the lawyer must have felt at the moment by reading between the lines. A reversal of the role of a neighbor takes place at the end of this story: from a beneficiary to a benefactor.

 

In effect, Jesus places the lawyer in the state of a half-dead victim. Probably it is a shocking revelation to the lawyer. It never occurs to him that he will be positioned in the state of a victim who desperately needs the help of a neighbor in his lifetime. But who knows? The moment is none other than once-in-a-lifetime chance of enlightenment or epiphany to the lawyer. He has to be a neighbor (i.e. benefactor) to anyone in desperate need, just as he may be the victim (i.e. beneficiary) who needs some urgent help from any neighbor. “Can you recognize the hated Samaritan as your neighbour? If you can't, you might be left for dead.” (N. T. Wright) I reckon that this may be the most significant lesson of this story to the lawyer.

 

Through the Samaritan story, Jesus drives home the point that a neighbor is “anyone with whom we have dealings at all”, regardless of ethnicity, country, or religion. He or she may be not only anyone in extreme need, but anyone who shows merciful act toward anyone in distress. In the midst of both the dramatic shift in the world and the daily grind of life’s hassles, anyone of us can be placed in the position both of beneficiary as well as benefactor. All we have to do is to turn the lawyer’s philosophical or conceptual question, “Who is my neighbor (i.e. the person whom I should help)?”, into another practical or proactive question, “Am I a neighbor (i.e. a person who helps others)?” Applying this question to ourselves can be facilitated by the following attitude proposed by Martin Luther King, Jr.  

 

“The first question which the priest and the Levite asked was: ‘If I stop to help this man, what will happen to me?’ But (...) the good Samaritan reversed the question: ‘If I do not stop to help this man, what will happen to him?’”

 

-Information vs. Heart & Relationship-

It is remarkable to note that Jesus does not add a new piece of information to the lawyer who asks Him two questions. He just challenged him to act on his own information that he has long held most dear, and fresh insight that escapes his notice due to his prejudice. Review the two structures of two dialogues between him and Jesus. We don’t know what transpired to the lawyer’s life after these dialogues. He realized that he had painted himself into a corner, but that was where he was given an opportunity to test his relationship with God. It should save him from an obsession with the idea that he loves God when he does not. For his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including Samaritans validates or invalidates his claims to love God. (R. Kent Hughes) Since it is a true statement that if you love God, you get to love neighbor, its contraposition should be true in a logical sense: if you don’t love neighbor, you don’t love God.

 

In other words, the call to love your neighbor is not a call to perfect obedience which only Jesus Christ carried on during His lifetime. But it is a call to reflect on our relationship with God. How we treat others, especially those who are in physical, social, or economic distress, is the touchstone of how we love God. Probably this provides the clue to the question I raised in the introduction: what is the origin of the active love or compassionate actions exercised by the likes of the good Samaritan (v. 33, "he felt compasion"[=Deep awareness of the suffering of another accompanied by the wish to relieve it])? It is the love for God with our whole being. The essence of the love for God is not more knowledge but a renewed heart to please God and a revitalized relationship with Him. These are the fountain of the love of our neighbor.

 

Jesus Christ is our perfect example in terms of heart set on loving God, which is fleshed out in total obedience to His will. Jesus resolutely sought God’s will (John 5:30). He came to this world to do the will of God (John 6:38).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God’s will, Jesus even delighted in doing it (Psalm 40:8).

 

(John 5:30) “I can do nothing on My own initiative As I hear, I judge; and My judgment is just, because I do not seek My own will, but the will of Him who sent Me.”

(John 6:38) “For I have come down from heaven, not to do My own will, but the will of Him who sent Me.”

(Psalm 40:8) “I delight to do Your will, O my God; Your Law is within my heart.”

 

His heart, the seat of His intellect, will, and emotions (or desires), was fully focused on knowing, doing, and delighting God’s will. (Jerry Bridges) These manifestations of His heart totally make psychological sense. Loving God is not primarily a matter of emotions which we cannot control in a direct manner, because it is a command. It is a matter of intellect, will and act. However, if we continue to do something according to our will, our emotions follow our actions.

 

On the other hand,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puts us in touch with the source of love”, since God is love (1 John 4:8). It shows us “an example of ideal love” through sending His Son Jesus Christ for our sins (1 John 4:10-11). Furthermore, it “empowers us to love” through His proactive love (1 John 4:19). (R. Kent Hughes)

 

(1 John 4:8) “The one who does not love does not know God, for God is love.”

(1 John 4:10-11) “In this is love, not that we loved God, but that He loved us and sent His Son to be the propitiation for our sins. Beloved, if God so loved us, we also ought to love one another.”

(1 John 4:19) “We love, because He first loved us.”

 

It means that we are capable of loving God and our neighbors through being loved by God first in a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Him. Therefore, Brothers and Sisters, let’s ask God to bless us just as Apostle Paul prays:

 

“Our roots will grow down into God’s love and keep us strong. And may we have the power to understand, as all God’s people should, how wide, how long, how high, and how deep his love is. May we experience the love of Christ, though it is too great to understand fully. Then we will be made complete with all the fullness of life and power that comes from God.” (Eph. 3:17-19, NLT)

 

-Practical Suggestions-

With this fundamental principle in mind, specifically how can we love our neighbors as ourselves? Let me suggest two things. First, take a renewed look at them as ‘wonderful immortals’, who are worthy of our best service.

 

“It is a serious thing to live in a society of possible gods and goddesses, to remember that the dullest and most uninteresting person you talk to may one day be a creature which, if you saw it now, you would be strongly tempted to worship, or else a horror and a corruption such as you now meet, if at all, only in a nightmare. All day long we are, in some degree, helping each other to one or other of these destinations. It is in the light of these overwhelming possibilities, it is with the awe and the circumspection proper to them, that we should conduct all our dealings with one another, all friendships, all loves, all play, all politics. There are no ordinary people. You have never talked to a mere mortal. Nations, cultures, arts, civilization—these are mortal, and their life is to ours as the life of a gnat. But it is immortals whom we joke with, work with, marry, snub, and exploit— immortal horrors or everlasting splendours. (…) Next to the Blessed Sacrament itself, your neighbour is the holiest object presented to your senses. If he is your Christian neighbour he is holy in almost the same way, for in him also Christ vere latitat—the glorifier and the glorified, Glory Himself, is truly hidden.” (C. S. Lewis, “The Weight of Glory”)

 

Secondly, put yourself in another’s shoes. Refer to the statement of pastor Martin Niemöller who woke up to the threat of the Nazis and courageously published a series of sermons with the in-your-face title Christus ist mein Führer (“Christ [not Hitler] is my Führer”), which put him behind the bars of concentration camp for seven years.

 

“First they came for the Jews; but I did nothing because I am not a Jew. Then they came for the socialists, but I did nothing because I am not a socialist. Then they came for the Catholics, but I did nothing because I am not a Catholic. Finally, they came for me, but by then there was no-one left to help me.”  

 

His attitude echoes the perspective of the good Samaritan story. Jesus turned the lawyer's question on its head. The lawyer asked, “Who is my neighbor?” assuming he is always a benefactor, but Jesus asked, “Who proves to be your neighbor?” assuming he may be a victim. He should have placed himself not only in the benefactor’s position, but in the beneficiary’s one, in order to be a practitioner of active love toward any neighbor in distress. Let’s pray.

 

(번역)

이웃을 사랑하기

(누가복음 10:25-37)

 

안녕하세요, 형제자매 여러분! “착한 사마리아인”이라는 표현을 잘 아실 것입니다.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이기적으로 남을 불쌍히 여기고 돕는 사람”, “곤경에 처한 사람들에게 호의로 도움이나 동정을 베푸는 사람”, “특별한 노력을 들여 남에게 친절을 베푸는 사람”. 이러한 정의는 두 가지 측면을 지적합니다. 첫째, 선한 사마리아인은 극도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친절하고 이타적이거나 관대한 일을 하는 데 참여한다는 것입니다. 둘째, 선한 사마리아인은 연민, 동정심, 긍휼을 품고 있기에 그렇게 합니다. 한마디로 선한 사마리아인은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입니다. 이 정의를 접하게 될 때, 저는 그런 종류의 적극적인 사랑이나 자비로운 행동이 무엇에서 비롯된 것인지 궁금했습니다. 오늘 본문의 주인공인 사마리아인을 묵상함으로써, 이 질문이 해결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개의 대화 구조-

이 구절은 예수님께서 율법교사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으시지만, 그의 질문을 그에게 되돌려 그가 자기 자신의 질문에 대답하도록 허락하신다는 점에서 당신께서 교사로서 탁월하신 분이심을 나타내 줍니다. 그 과정에서 율법교사는 자신의 영적 결함을 반성하고, 자신의 마음을 바꾸라는 도전을 받습니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율법교사와 예수님 사이에 전개된 두 대화의 구조를 주의 깊게 살펴 보세요.

 

<첫 번째 대화, 10:25-28>

1. “내가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 (율법교사: 질문1)

2. 예수께서 이르시되 “율법에 무엇이라 기록되었으며 네가 어떻게 읽느냐” (예수님: 질문2)

3. 대답하여 이르되 네 마음을 다하며 목숨을 다하며 힘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고 또한 네 이웃을 네 자신 같이 사랑하라 하였나이다 (율법교사: 질문2에 대한 답변)

4.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 대답이 옳도다 이를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 하시니 (예수님: 질문1에 대한 답변)

 

<두 번째 대화, 10:29-30, 36-37>

5. “그러면 내 이웃이 누구니이까?" (율법교사: 질문3)

6.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다가 (…)” [비유의 말씀 계속]  “네 생각에는 이 세 사람 중에 누가 강도 만난 자의 이웃이 되겠느냐” (예수님: 질문4)

7. 율법교사: “자비를 베푼 자니이다” (율법교사: 질문4에 대한 답변)

8. 예수님: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라” (예수님: 질문3에 대한 답변)

 

-이웃의 의미: 3가지 선택과 너머-

첫 번째 대화에서 율법교사는 어리석은 것처럼 보입니다. 무엇보다도 특히 자신의 질문에 자기가 대답하게 되었고, 그 후에 그 대답의 내용을 실천하라는 지시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이 난처한 상황에서 그는 예수님께 “누가 내 이웃입니까?”라는 충동적인 질문을 함으로써, 체면을 살리고 자신을 정당화하려고 시도합니다. 그러나 “누가 내 이웃인가?”라는 이 질문은 의미심장합니다. 그것은 분명히 그가 상이한 그룹의 사람들을 구별해서 자기가 생각하는 이웃의 범주에 합당한 사람을 고려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아마도 그는 “동포”(레위기 19:18)와 “너희와 함께 있는 거류민”(19:34)의 무게를 자기 저울로 달았을 것입니다.

 

(레위기 19: 17-18) “너는 네 형제를 마음으로 미워하지 말며 네 이웃을 반드시 견책하라 그러면 네가 그에 대하여 죄를 담당하지 아니하리라 원수를 갚지 말며 동포를 원망하지 말며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레위기 19:34) “너희와 함께 있는 거류민을 너희 중에서 낳은 자 같이 여기며 자기 같이 사랑하라 너희도 애굽 땅에서 거류민이 되었었느니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그렇지만 예수님은 그에게 선한 사마리아인의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원문에는 없고 이 두 가지 선택의 범주를 넘어서는 급진적인 선택을 제안하십니다. 사실상 당신께서는 사마리아인을 이웃의 세 번째 선택, 즉 ‘너희와 함께 거주하지 않는 거류민’으로 언급하십니다. 그것이 이야기의 끝이 아닙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예수님께서는 형세를 역전시켜, 유대인들에게 미움을 받던 사마리아인이 유대인인 ‘너희들’을 구원한다는 말씀까지 하신 것이지요. 결코 그 반대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희생자와 강도 모두 유대인일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지나가는 두 사람(즉, 제사장과 레위인)도 유대인일 것입니다. 즉 어떤 유대인이 어떤 세속적인 유대인들에게 공격을 받고, 다른 종교적인 유대인들에게 무시를 당하는 상황이라는 것이지요. 그러나 미움 받던 사마리아인 한 명이 상당한 대가를 치르고 자신의 안전의 위험을 무릅쓰면서 그 유대인을 구합니다. 이 이야기의 끝에서 예수님께서는 율법교사에게 이제 누구를 이웃으로 여기느냐고 묻지 않습니다. 누가 그 강도의 습격을 당한 '유대인에게 이웃이라는 점이 증명되었느냐’라고 묻고 있지요(36절). 그는 사마리아인이 실행한 비할 데 없이 자비로운 위업을 인정하면서, “자비를 베푼 자니이다”(37절)라고 대답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행간을 읽어 보자면, 그 순간 그 변호사가 느꼈을 충격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이 이야기의 끝에서 이웃 역할의 반전이 발생한 것입니다. 즉 수혜자 이웃에서 은인 이웃으로 반전하는 것 말이지요.

 

사실상, 예수님께서는 율법교사를 반쯤 죽은 그 피해자의 상태에 두신 것입니다. 아마도 그것은 변호사에게 충격적인 계시가 되었을 법합니다. 평생토록 자기가 이웃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한 희생자의 상태에 놓이게 될 것이라고 결코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누가 알겠습니까? 그 순간은 율법교사에게 깨달음이나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일생에 단 한 번뿐인 바로 그 기회였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기가 이웃의 긴급한 도움이 필요한 희생자(즉 수혜자)가 될 수도 있는 것처럼, 절박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의 이웃(즉 후원자)이 되어야 하는 것이지요. N. T. 라이트가 지적한 대로, “그대는 미움 받는 사마리아인을 이웃으로 인식할 수 있는가? 그렇지 않으면, 그대는 죽은 채로 남겨질 수 있다.” 저는 이것이야말로 이 이야기가 율법교사에게 안겨 준 가장 중요한 교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사마리아인의 이야기를 통해, 이웃이란 민족, 국가, 종교와는 상관없이 “우리가 어떤 식으로든 관계하는 모든 사람”이라는 점을 강조하십니다. 그들은 극도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일 수도 있겠지만, 곤경에 처한 사람에게 자비로운 행동을 보이는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극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세상과 고단함이 지속되는 삶의 나날 속에서, 우리 중 어떤 사람이라도 은인의 위치뿐 아니라 수혜자의 처지에도 놓일 수가 있습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다만 율법교사가 던진, “내 이웃(즉, 내가 도와야 할 사람)은 누구인가?”라는 철학적이거나 개념적인 질문을, 는 과연 이웃(즉, 다른 사람을 돕는 사람)인가?”라는 또 다른 실제적이거나 능동적인 질문으로 바꾸는 것뿐입니다. 이 질문을 우리 자신에게 적용하는 데 마르틴 루터 킹이 제안한 다음과 같은 태도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제사장과 레위 사람이 처음으로 던진 질문은, ‘내가 멈추어서 이 사람을 도우면, 내게 무슨 일이 일어날까?’였다. 그러나 (...) 선한 사마리아인은 그 질문을 이렇게 뒤바꾸어 버렸다. ‘내가 멈추어서 이 사람을 돕지 않으면, 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까?’”

 

-정보 vs. 마음과 관계-

당신께 두 가지 질문을 하는 율법교사에게 예수님께서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지 않으셨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예수님께서는 그가 오랫동안 가장 소중하게 여겼던 자신의 정보와, 편견으로 인해 눈에 띄지 않은 신선한 통찰력에 따라 행동하도록 도전하셨습니다. 그와 예수님 사이에 오간 두 대화의 두 구조를 다시 검토해 보세요. 우리는 이 대화 이후에 변호사의 삶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모릅니다. 그는 자기가 자기를 막다른 골목으로 몰았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그런 상황이야말로 자신이 유지해 온 하나님과의 관계를 시험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곳이었습니다. 그 상황으로 인해 자기가 하나님을 사랑하지 않는데도 하나님을 사랑하고 있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는 상태에서 벗어나야 했습니다. 왜냐하면 사마리아인을 포함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는 하나님을 사랑한다는 그의 주장을 정당화하거나 무효화하기 때문입니다 (R. 캔트 휴즈). 하나님을 사랑하면 이웃을 사랑하게 된다는 말이 사실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보자면 그 대우(對偶)도 참이 되기 때문이지요. 즉 이웃을 사랑하지 않으면,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다시 말해서, 이웃을 사랑하라는 부르심은 예수 그리스도만이 평생 동안 수행하신 완전한 순종에 대한 부르심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성찰하라는 부르심입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들, 특히 신체적, 사회적 또는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대하는 방식은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하는 방식의 진수를 보여주는 시금석입니다. 아마도 이것이 바로 제가 서론에서 제기한 질문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것입니다. 즉 ‘선한 사마리아인과 같은 사람들이 행한 적극적인 사랑이나 긍휼히 여기는 행동의 근원은 무엇인가?’라는 질문 말입니다. (33절에 등장하는 ‘긍휼히 여김’이라는 영어 단어는 타인의 고통을 깊이 인지함과 동시에 그것을 경감하려는 소원을 품고 있는 상태를 의미함.) 그것은 우리의 전 존재를 통해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이 하나님 사랑의 본질은 더 많은 지식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는 새로운 마음과 회복된 하나님과의 관계입니다. 이것들이야말로 우리가 이웃을 사랑하는 샘이 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마음의 측면에서 우리의 완전한 모범이십니다. 이러한 마음의 자세에서 하나님의 뜻에 대한 온전한 순종이 구현되었습니다. 예수님은 단호하게 하나님의 뜻을 구하셨습니다(요한복음 5:30). 당신께서는 하나님의 뜻을 행하기 위해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요한복음 6:38).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 가시는 과정에서, 예수님께서는 기뻐하기까지 하셨습니다(시편 40:8). 

 

(요한복음 5:30) “내가 아무 것도 스스로 할 수 없노라 듣는 대로 심판하노니 나는 나의 뜻대로 하려 하지 않고 나를 보내신 이의 뜻대로 하려 하므로 내 심판은 의로우니라.”

(요한복음 6:38) “내가 하늘에서 내려온 것은 내 뜻을 행하려 함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을 행하려 함이니라”

(시편 40:8) “나의 하나님이여 내가 주의 뜻 행하기를 즐기오니 주의 법이 나의 심중에 있나이다 하였나이다.”

 

지성과 의지와 감정(혹은 욕망)이 자리잡고 있는 예수님의 마음은 하나님의 뜻을 알고 행하고 기뻐하는 데 온전히 집중되어 있었습니다(제리 브릿지즈). 예수님의 마음이 이런 식으로 발현된 것은 심리학적으로도 온전히 이치에 맞습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은 명령이기 때문에 우리가 직접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감정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지성과 의지와 행동의 문제입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우리의 의지에 따라 무언가를 계속한다면, 우리의 감정은 우리의 행동을 뒤따르는 것이지요.

 

다른 한편으로, 하나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에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를 맺는 것으로 인해 우리가 “사랑의 근원에 접촉하게 됩니다”(요한일서 4:8). 그 관계를 통해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죄를 위해 당신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심으로써 우리에게 "이상적인 사랑의 본"을 보여주십니다(요한일서 4:10-11). 더욱이 그 관계는 당신의 능동적인 사랑을 통해 “우리에게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 주십니다”(요한일서 4:19). (R. 켄트 휴즈)

 

(요한일서 4:8)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나니 이는 하나님은 사랑이심이라.”

(요한일서 4:10-11) “사랑은 여기 있으니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 죄를 속하기 위하여 화목 제물로 그 아들을 보내셨음이라. 사랑하는 자들아 하나님이 이같이 우리를 사랑하셨은즉 우리도 서로 사랑하는 것이 마땅하도다.”

(요한일서 4:19) “우리가 사랑함은 그가 먼저 우리를 사랑하셨음이라”

 

이 말은 하나님과의 지속적인 관계 속에서 먼저 하나님의 사랑을 받음으로써,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형제자매 여러분, 사도 바울이 기도한 것처럼 하나님께 축복을 구합시다.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께서 너희 마음에 계시게 하시옵고 너희가 사랑 가운데서 뿌리가 박히고 터가 굳어져서 능히 모든 성도와 함께 지식에 넘치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알고 그 너비와 길이와 높이와 깊이가 어떠함을 깨달아 하나님의 모든 충만하신 것으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시기를 구하노라.” (에베소서 3:17-19)

 

-실제적인 제안-

이 근본 원리를 염두에 두면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할 수 있을까요? 두 가지를 제안해 보겠습니다. 먼저 우리 이웃들을 우리가 나눌 수 있는 최고의 섬김을 받을 만한 ‘경이로운 불멸의 존재’로 새롭게 바라보십시오.

 

“우리는 장차 신과 여신이 될 수도 있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 오늘 우리가 만난 사람 중에 가장 재미없고 또 지루했던 사람이라도 언젠가는, 만약 우리가 지금 그 모습을 볼 수만 있다면 당장이라도 엎드려 경배하고 싶은 충동을 강하게 느끼게 하는, 그런 존재일 수도 있다. 또 어쩌면, 지금은 우리가 악몽에서나 만나볼 수 있는 그런 끔찍하게 부패한 존재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하루하루, 우리 모두는 서로 서로에게 이 두 가지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가도록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며 살아가고 있다. 우리가 서로를 대하고 우정을 나누고 사랑을 하고 함께 놀고 정치를 하는 이 모든 일에 있어서, 우리는 이 같은 엄청난 가능성을 기억하며 경외심과 신중함을 가짐이 마땅하다. ‘평범한’ 사람이란 없다. 당신이 지금껏 이야기를 나눠본 사람들 중 그 누구도 ‘그저 죽으면 끝날’ 존재는 아무도 없다. 나라들, 문화들, 예술들, 문명들 이 모든 것들은 다 ‘그저 사라지고 말’ 것들이고, 그것들의 생명이란 우리 인간 개개인의 생명에 비하면 고작 모기만도 못한 것들이다. 그러나 우리가 함께 농담을 주고받고, 함께 일하고, 결혼하고, 무시하고, 이용해 먹었던 인간들은 불멸의 존재들이다. 장차 ‘불멸의 혐오’(immortal horrors)가 되거나 아니면 ‘불멸의 광채’(immortal splendors)가 될 존재들인 것이다.” (C. S. 루이스, "영광의 무게")

 

둘째,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보십시오. 나치의 위협에 눈을 뜨고 용감하게 '그리스도[히틀러가 아니라]가 내 리더이시다'라는 제목을 달고 직접적으로 나치를 반대하는 일련의 설교를 출간한 마르틴 니묄러 목사님의 진술을 참조해 보세요. 그는 강제 수용소에 7년 동안 감금당했습니다.

 

“먼저 그들은 유대인들을 잡으러 왔지만, 나는 유대인이 아니기 때문에 아무 일도 하지 않았다. 그런 다음 그들은 사회주의자들을 잡으러 왔지만, 나는 사회주의자가 아니기 때문에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 그런 다음 그들은 천주교 신자들을 잡으러 왔지만, 나는 천주교 신자가 아니기 때문에 아무 일도 하지 않았다. 마침내 그들이 나를 잡으러 왔으나, 그때쯤이 되자 나를 도와줄 이들은 아무도 남아 있지 않았다.”   

 

그의 태도는 선한 사마리아인 이야기의 관점을 반영합니다. 예수님은 율법교사의 질문을 뒤바꾸어 버리셨습니다. 율법교사는 “내 이웃이 누구니이까?”라고 물었습니다. 자기는 항상 호의를 베푸는 존재인 줄 알았던 것이지요.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네 이웃으로 증명된 이가 누구냐?”라고 물으셨습니다. 그가 희생자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한 것입니다. 자신이 곤경에 처한 이웃에 대한 적극적인 사랑의 실천자가 되기 위해서는, 그는 자신을 은인의 입장뿐만 아니라, 수혜자의 입장에 두었어야 했습니다. 기도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