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lingual Version>
나는 선택이다
미국 대통령 선거가 끝났다. 도널드 트럼프가 카멀라 해리스를 이겼다. 초접전일 거라는 소문과는 달리 트럼프의 압승이었다. 그 문제적 인물을 다시 자신들의 지도자로 뽑은 미국인들을 이해하기 힘들다. 민주주의와는 그 대척점에 서 있는 인물이라는 점이 이미 확인되지 않았는가. 그래도 그들은 그를 자신들의 지도자로 선택했다. 이제부터 그 선택의 결과가 하루하루 눈 앞에 펼쳐질 것이다. 미국인들을 심판할 자격이 내게는 없다. 우선은 그들의 선택을 존중해야 하기 때문이다. 두 사람 중 한 사람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 중에 이런저런 사안들을 재어 보며 자신들의 인격을 건 결과가 아닌가. 그 각 사안이 자신들의 삶 가운데 얼마나 중대한 지는 그들이 잘 알 것이다. 다음으로 그들의 선택과 그 대안에 대한 정보가 내게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두 인물의 됨됨이와, 그들의 선거 공약들과, 그것들을 성취할 수 있는 그들의 역량에 대해서 내가 아는 것은 지극히 적다. 그것들을 알려고 깊이 있게 파고 든 적도 없다. 내가 트럼프가 나쁜 선택이라고 본 이유는 한 가지다. 그는 결정적인 측면에서 대통령 자격 미달이었기 때문이다. 지난 대통령 재임 기간 숱하게 거짓말해대고, 2020년 대선 결과에 불복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지지자들이 2021년 1월 6일 미국 국회의사당에 난입한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할 위치에 있는 자라는 사실이 그것이다. 그렇지만 미국인은 다른 잣대로 그를 선택했다. 미국인은 선택이다.
오늘 우리나라에도 중요한 선택이 한 가지 있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선택이었다. 어쩌면 자신에게 주어진 마지막 기회와도 같은 기자회견을 공중에 날려 버렸다.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후에 벌어진 온갖 비상식적인 일들과 참사들에 대해서 그가 취한 기괴하고 무책임한 행태들도 국민들은 참고 넘겼다. 이제는 탄핵의 사유에 해당하는 불법을 저지른 증거가 온 천하에 드러난 터였다. 그래도 그는 변함없었다. 여전한 자화자찬, 온갖 의혹에 대한 발뺌과 거짓말, 타인에 대한 책임 전가를 전가의 보도처럼 휘두른 아무말대잔치였다. 그 기자회견 실황을 끝까지 다 시청한 사람들을 존경한다. 자신이 처한 절체절명의 시기에, 겸허하게 국민들 앞에 자신과 부인의 범죄 의혹을 제대로 밝히고, 그것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과 시한을 제시함으로써,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할 절호의 기회를 놓쳤다. 이제부터는 그가 뭐라고 해도 국민들은 믿지 않을 것이다. 더 이상 내려갈 지지율도 없다. 대통령이 될 때부터 국민들은 그의 흠결을 잘 알고 있었다. 공무원의 신분을 갖고 있었으나 너무나 정치적으로 처신했다. 검사이었기에 제대로 수사받지 않은 범죄 혐의들을 안고 있었다. 오만불손한 면모를 다각도로 보였다. 게다가 숱한 의혹 속에 빠진 부인의 사주를 받아 무속 신앙에 의존하는 면모를 보였다. 이런 그에게 국민들은 너무나 과분한 신뢰를 선사했다. 그렇지만 그는 그 신뢰를 지속적으로 저버렸다. 더 이상 핑계는 통하지 않는다. 윤석열 대통령은 선택이다.
최근에 우리나라 다수의 교회가 선택한 길도 한 가지 있다. 약 열흘 전에 전국에 산재한 개신교회 교인들이 서울에 모여 대형 집회를 연 일이다. 차별금지법 제정을 반대하고 동성애를 반대한다는 취지였다. 그만한 규모로 이런 성격을 띤 집회가 열린 적이 있었는지 의문이다. 그 행사 일자는 "근본으로 돌아가자"는 기치를 내건 종교개혁 507주년을 기념하는 주일이었다. 굳이 이날을 선택한 것도 그 참석 교회들의 결단이었다. 동성애는 성경을 믿는 이들이라면 대다수가 죄악으로 인정하는 영역이다. 문자적으로 성경을 읽지 않고 문맥을 고려해서 보더라도, 죄악인 점을 부인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십계명에 확연히 드러난 죄악들이 범람하는 현세대 상황 대신, 상대적으로 예외적인 소수가 범하는 동성애 사례에 개신교회가 이토록 목매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 과연 동성애 문제가 현재 우리나라 교회의 사활이 걸린 사안인가? 그래도 우리나라 다수의 교회는 이 뜻깊은 '종교개혁주일'을 맞아 동성애 반대를 천명하는 데만 급급했다. 마르틴 루터가 그리스도교 신학과 교회의 중심에 두고자 한 것은, "나는 자비로운 하나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대변되는 하나님의 은총이었다(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즉 하나님의 은총과 자비에 대한 복음 및 회개에 대한 호소가 그가 이끈 종교개혁의 주조였다는 말이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우리나라 교회는 바로 이날에 그동안 엄연한 십계명을 어긴 온갖 사례를 고백하며 하나님의 은총을 구하는 개혁의 길 대신, 동성애와 동성애자들을 정죄하는 구태의연한 길을 선택한 것이다. 유다 왕국이 바벨론에게 멸망당하여 수많은 백성이 포로 생활을 감내해야 했던 것은 동성애 때문이 아니었다. 그 사회 속에 갖가지 불법과 불의가 횡행하고, 사회적 약자를 무시하거나 학대하며, 영적 간음(=우상 숭배)과 육체적 간음이 난무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이 예루살렘 성을 둘러싸고 위협하는 상황 중에도 그들은 그런 죄악에서 돌이키지 않았다. 선지자 예레미아를 통해 그때라도 회개하고 돌이키기만 한다면, 구원받으리라는 약속을 듣고서도 말이다(예레미야 21-22장). 더 이상 핑계는 통하지 않는다. 한국교회는 선택이다.
나도 최근에 한 가지 선택을 했다. 거제도로 이주한 일이다. 아무런 연고도 없는 곳이지만, 여러 사항을 신중하게 견주어 본 후 결정했다. 거주 비용이 저렴하고, 맑은 공기와 물과 산책 시설을 비롯한 공공재가 풍부하며, 생활 편의성이 뛰어난 곳을 고르다 발견한 곳이다. 해외에서 21년을 지내다 귀국한 초기에는 선택할 여지가 없었다. 이제 조금이라도 선택할 수 있는 처지에 놓인 이상, 이 기회를 놓칠 수 없었다. 이곳에서도 선택은 계속된다. 확연하게 선악이 갈리는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특정 우상을 섬길 것인지 말 것인지를 고민할 필요는 없다. 타인의 것을 취할 것인지 말 것인지도 고뇌의 대상이 아니다. 내가 갈등하는 영역은 주로 상충 관계(trade-off)를 고려해야 하는 데서 비롯된 경우가 많다. 이것을 택하면, 저것을 놓치게 된다. 저것을 택하면, 이것을 포기해야 한다. 선택해야 할 당시에 수집한 모든 정보에 근거하여, 어느 쪽이 더 적절하고 덕이 될지 고려해서 결정할 뿐이다. 그때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영역이 있다. 하나님 아버지와 누리는 사랑과 신뢰의 관계다. 이 관계를 대체할 어떠한 선택도 없다. 이 관계만 지속된다면, 어떠한 선택의 결과도 인내하거나 감사해야 할 대상일 뿐이다. 나는 더 이상 핑계대지 않는다. 나는 선택이다.
<English Translation>
I Am Choice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has concluded. Donald Trump defeated Kamala Harris. Contrary to predictions of a tight race, it was a landslide victory for Trump. It’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Americans could once again choose such a controversial figure as their leader. Has it not already been demonstrated that he stands in stark opposition to the principles of democracy? Yet, they made their choice. Now, the consequences of that choice will unfold before their eyes, day by day.
I am not in a position to judge the American people. Their choice must first be respected. Faced with two candidates, they weighed various issues and made a decision that reflects their values and convictions. They understand better than anyone how these issues will affect their lives. Moreover, I lack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ir choice or the alternatives. I know very little about the character of these two candidates, their campaign promises, or their capabilities to fulfill them. My belief that Trump was a poor choice stems from one reason: he was fundamentally unfit to be president. His previous term was rife with lies, his refusal to accept the 2020 election results, and his role in the January 6th Capitol riots—a series of actions that demonstrated his unsuitability for leadership. Yet, Americans evaluated these factors differently and chose him. America is choice.
A Choice in Our Nation
Today, our nation also faced a significant choice: that of President Yoon Suk-yeol. Perhaps this press conference was his last chance to address the public meaningfully, but he squandered it. Since his inauguration, the public has endured countless instances of irrationality, disasters, and bizarre, irresponsible conduct. Now, undeniable evidence of impeachable offenses has come to light. Yet, Yoon remained unchanged. The press conference was filled with self-praise, denial of all allegations, deflection of responsibility, and baseless excuses. I respect those who endured watching the entire event.
At this critical moment, he had the opportunity to humbly address the nation, provide clarity on the accusations against himself and his wife, and propose concrete measures to restore trust. Instead, he missed this golden opportunity. From now on, no matter what he says, the people will not believe him. His approval ratings, already at rock bottom, have nowhere to go but further down. From the beginning, the public knew of his flaws: his overtly political actions as a civil servant, uninvestigated allegations of criminal activity as a prosecutor, his arrogance, and his reliance on shamanistic practices influenced by his wife. Despite all this, the people entrusted him with their faith—a trust he continually betrayed. Yoon Suk-yeol is choice.
A Choice by the Korean Church
Recently, the majority of Korea’s Protestant churches made their own choice. About ten days ago, church members from across the country gathered in Seoul for a large-scale rally to oppose the enactment of anti-discrimination laws and same-sex relationships. It’s unclear if such a gathering of this scale and nature has ever occurred before. The event was held on Reformation Sunday, commemorating the 507th anniversary of the Protestant Reformation under the slogan, “Return to the fundamentals.” Choosing this particular day for their rally was itself a deliberate decision by these churches.
Same-sex relationships are widely considered sinful by most who believe in the authority of scripture. Even when interpreting the Bible contextually rather than literally, it is difficult to deny its stance on this issue. However, it is perplexing that Protestant churches have chosen to fixate on the relatively exceptional issue of homosexuality while ignoring the rampant violations of the Ten Commandments in today’s society. Is the issue of same-sex relationships truly the life-and-death struggle of the Korean Church?
On this meaningful Reformation Sunday, rather than confessing their own failures to uphold the Ten Commandments and seeking God’s grace for reform, Korean churches chose instead to condemn homosexuality and those who identify as LGBTQ+. This is a far cry from the central concern of Martin Luther, who sought to place the gospel of God’s mercy and grace at the heart of Christian theology. According to Wolfhart Pannenberg, Luther’s Reformation revolved around the question: “How can I accept the merciful God?” Yet, on this day, Korean churches turned away from this foundational spirit of the Reformation and chose to perpetuate the outdated path of judgment and condemnation.
The Kingdom of Judah did not fall to Babylon because of homosexuality. It was destroyed because of widespread lawlessness and injustice, the neglect and abuse of the vulnerable, rampant idolatry, and pervasive immorality. Even as King Nebuchadnezzar of Babylon laid siege to Jerusalem, the people refused to repent of their sins. Despite the prophet Jeremiah’s promises of salvation if they turned back to God, they did not listen (Jeremiah 21–22). Korean churches are choice.
My Own Choice
Recently, I, too, made a choice: to move to Geoje Island. I had no connections to this place, but after careful consideration, I decided to relocate. Geoje offered affordable living, clean air and water, and ample public amenities such as walking trails. After 21 years abroad, I initially had little choice in where I settled upon returning to Korea. Now, with some freedom to choose, I did not want to waste this opportunity. Here, I continue to face choices. Clear distinctions between good and evil are not the challenge. There’s no need to deliberate over whether to worship idols or steal from others. The dilemmas I face arise from trade-offs. Choosing one thing often means forgoing another. In these moments, I gather all available information and weigh which option is more appropriate and beneficial. However, there is one area where compromise is not an option: my relationship of love and trust with God the Father. No choice can replace this. As long as this relationship endures, I can face the outcomes of any decision with gratitude and patience. I will no longer make excuses. I am choice.
'학(學)-평생에 걸쳐 학습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서인문학은 비빔밥이다 (31) | 2024.11.20 |
---|---|
양날의 검, 정보의 바다 (1) | 2024.11.11 |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영적 여정: “그리스인 조르바”와 “성 프란체스코”의 비교 (0) | 2024.03.08 |
실존주의적 영웅: “그리스인 조르바”(1946)의 내적 탐색과 영적 투쟁 (0) | 2024.02.27 |
자유로운 영혼, “그리스인 조르바”(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인생 여정 (0)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