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배우고 글 쓰고 나누는 제 마음에 사랑이 흘러넘치게 하소서

선교와 인문학2

선교와 인문학이 만나다 (선교소식지인 "선교대구"에 게재된 제 글 한 편을 소개합니다.) 선교와 인문학이 만나다 -들어가는 말- 선교 활동에 있어 인문학은 선택 사항이 아니다. 존 스토트가 지적한 성경의 “이중 저작”(double authorship) 상황만 돌아보아도 이 점이 명백해진다. 즉 성경은 우선 “여호와의 입의 말씀”(이사야 1:20)인 동시에 “하나님이 모든 선지자의 입을 통하여” 말씀하신 내용이다(사도행전 3:18, 21). 이런 성경에 접근하는 우리의 자세도 이중적(a double approach)이어야 한다. 유일신 하나님의 말씀이므로 경외하는 자세와 겸손한 태도로 대해야 하고, 지성을 활용하여 생각하면서 그 말씀의 인문학적 특성에 주목하면서 읽어야 한다. 이런 이중적 접근 방식은 불가능하지 않을 뿐 아니라 .. 2021. 12. 10.
인문학은 선택 사항이 아니다 인문학은 선택 사항이 아니다 어제저녁에 “선교와 인문학”이라는 제목으로 강의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동안 선교 영역에서 수고하신 분들이 함께 모여 선교리더십을 토의하는 과정 중에 나눈 강의였습니다. 선교와 인문학을 접목하는 시도에 대해 낯설어하거나 난감해하는 참석자가 혹시 있을까 봐 시 한 편을 감상하고 시작했습니다. 김광규 시인의 “생각의 사이”라는 시입니다. 김 선생님은 제 대학 은사이십니다. 대학 1학년 때 교양과정을 수강하던 중 접한 독일어 수업을 지도하신 교수님의 모습은 지금 생각해보니 참 신선했습니다. 어느 교수님에게서도 들어보지 못한 제안을 접했던 게 새로웠습니다. “여러분은 대학생이므로 자기가 자기 삶을 결정해야 한다. 이 독일어 수업 시간 중 20%는 결석해도 된다고 학교가 규정하고 있다.. 2021.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