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세이아2 보편적인 미덕의 화신, 호메로스의 오디세우스(2) 보편적인 미덕의 화신, 호메로스의 오디세우스(2) -오디세우스의 인격적 면모- 그리스인의 전범이었던 오디세우스가 어떤 인격적 면모를 띠고 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그의 가장 두드러진 자질은 인내와 용기였습니다. “참을성 많은 오뒷세우스”(예-4:241; 5:30; 16:258, 266)라는 표현이 부지기수로 등장합니다. 페넬로페의 입을 통해 그의 용기가 언급됩니다. “나는 사자의 용기를 가진 훌륭한 남편을 잃었어. 다나오스 백성들 가운데 온갖 미덕에서 탁월한 분으로 헬라스와 아르고스의 중심부에서도 명성이 자자한 훌륭한 남편이었지.”(4:724-726) 먼저 그는 트로이아 전쟁에 참여하여 혹독한 고난을 겪습니다. 자기의 제안에 따라, 헬레네에게 구혼한 남자들이 그녀가 누구를 남편으로 택하든 그녀의 남편.. 2020. 10. 1. 보편적인 미덕의 화신, 호메로스의 오디세우스(1) 보편적인 미덕의 화신, 호메로스의 오디세우스(1) -르네상스: ‘고전주의의 부활’(rebirth of classicism)의 의미- 서구 사회에서는 르네상스 시대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그리스/로마 문화의 회복이 인간의 잠재적 가능성을 극대화하면서 종교, 영성 중심의 중세 시대로부터의 결별이 이루어졌다는 주장이 왕왕 제기되었습니다. 그 시대에는 그리스, 로마 문화를 새롭게 연구하고 모방하는 과정에서 종교에 얽매인 개인을 해방하여 자유롭게 하려는 분위기가 두드러졌다고 이해하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프로타고라스가 주창한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는 인본주의적 언명이 당대의 사회 기풍을 대변한다고 보았지요. 물론 중세 시대가 노정한 억압적인 봉건 사회 체제나 당시의 종교가 현시한 내세 지향적인 영적 체계와 교훈으.. 2020. 9. 26. 이전 1 다음